"사용자 참여로 에너지기술 보급 성공률 향상된다면"
산업부, 에너지기술 수용성 제고 및 사업화 촉진 사업 공고<br />
사용자가 직접 사업과정 참여…해결방안 제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6-06 13:00:21
(서울=포커스뉴스) #1. 제주도 시내 연립주택에 사는 A씨는 전기차를 구입하려다 충전 시설 설치에 따른 주차공간 부족과 감전 가능성 등을 걱정하는 이웃 주민들의 반대로 망설이고 있다.
#2. 수소충전소 관련 부품을 개발하고 있는 B업체는 요즘 걱정이 많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수소충전소 실증사업에 참여해 부품 성능을 실제 환경에서 시험하고 싶지만, 설치 예정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실증단지 구축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런 에너지기술 문제점들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겪은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에너지기술 수용성 제고 및 사업화 촉진사업’ 도입을 통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이미 개발됐으나 보급이 활성화되지 못한 에너지기술 중 10개 과제를 선정해, 사용자가 포함된 공동연구팀을 운영한다. 이 연구팀은 에너지기술 사업화 장애문제를 진단·분석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발굴한다. 과제당 지원비는 2억원 내외다.
이 사업은 △현장에서 겪는 문제에 따라 초기보급 중인 에너지 제품·설비의 문제점을 개선·개량하는 제품·설비 현장 문제해결형 사업 △기술개발단계부터 지역주민 등이 겪었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컨설팅하는 중대형 R&D 수용성 진단 사업 등 2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제품·설비 현장 문제해결형 사업을 통해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사업처럼 설치공간, 안전성 등의 문제로 보급이 지연되고 있는 사업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또 중대형 R&D 수용성 진단 사업을 통해서는 ‘수소충전소 설비 실증단지 구축’ 사업처럼 정책적으로 수행하는 대규모 실증R&D 사업을 실시하기 전에 사업의 수행 방안을 도출하게 된다.
이번 공고된 과제는 소규모 태양광, 전기차 충전시설, 도서지역 마이크로크리드 등이 포함됐고, 오는 7일부터 7월 26일까지 과제수행 사업자를 모집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업에 대해 관심있는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국 7개 권역(서울, 목포, 대전, 제주, 대구, 부산, 인천)에서 설명회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