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가스공사 "자원개발 특성상 민간이 투자하기엔 한계 있어"
'해외 자원개발 개편' 공청회서 산업부 제시한 구조조정안 반발하고 나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5-20 19:55:41
(서울=포커스뉴스)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가 산업통상자원부의 공기업 구조조정안에 반발하고 나섰다.
20일 서울 강남구 해외자원개발협회에서 열린 '해외 자원개발 추진체계 개편방안' 공청회에서 공사들은 위기는 맞지만 이를 민간으로 넘기기에는 리스크가 크다고 주장했다.
이날 공청회에는 산업부가 연구 용역을 맡긴 딜로이트안진의 송태인 전무를 비롯해 이재웅 석유공사 본부장, 고호준 가스공사 처장, 이정기 광물공사 본부장, 이응규 LG상사 전무, 강성욱 포스코 그룹장, 신현돈 인하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산업부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통합 △석유 자원개발 기능 민관 이관 △석유공사 자원개발 기능 가스공사 이관 △민간의 광물자원공사 자원개발 사업 참여 등의 내용이 제시됐다.
이재웅 석유공사 본부장은 "재무적 위기는 맞으나 생산원가를 줄이고 강력한 자구노력을 통해 단기 유동성확보가 가능하다"며 "석유개발의 특성상 기한이 오래 걸리고 리스크가 높아 민간이 투자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고호준 가스공사 처장은 "석유공사 자산을 가스공사에 이관할 시 경영효율성이 저하되고 적정 매각가치 산정등에 우려가 생긴다"며 "석유-가스공사 통합시 리스크가 한 기업에 집중되고 기업가치 산정도 중점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현돈 인하대 교수도 "자원개발의 필요성은 모두 공감하나 어떻게 할지는 국가, 언론, 정부,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방법을 찾는게 중요하다"며 "민관이관은 공기업, 정부의 자원개발 필요성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이날 함께 자리한 기업들은 자원개발의 민관 이전 이전에 정부의 지원이 담보되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성욱 포스코 그룹장은 "대부분의 기업이 신규 투자에 보수적인 입장"이라며 "자원개발은 긴 호흡을 갖고 추진해야 하며 조세지원 같은 정부지원이 계속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응규 LG상사 전무는 "글로벌 메이저에 비해 공기업의 역량이 미흡하지만 그간의 역량이 사장되면 국가적 손실"이라며 "성공불 융자가 가장 중요하며 정부가 적정 비율(50%) 지원시 민간이 적극적으로 탐사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