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공공성대책위 "비정규직 없는 대학 헌장 제정하겠다"
고용안정·차별금지·인권보장 등 포함<br />
최종안 나오면 국회·대선주자에 전달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5-12 13:15:26
(서울=포커스뉴스) 비정규직 없는 대학을 만들기 위한 '대학 헌장'을 제정하는 데 노동계가 목소리를 모았다.
전국교수노동조합, 전국대학노동조합 등 노동 단체가 모여 만든 '대학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1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정규직 없는 대학 만들기를 목표로 '대학 헌장 제정운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날 공대위는 '논의를 위한 비정규직 없는 대학 헌장 초안'을 발표하고 전국 대학을 순회하며 의견을 모아 최종 헌장을 채택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대학 헌장 초안은 '교육은 상품이 아니다'는 선언으로 시작해 △고용 안정 △차별 금지 △인권 보장 △노동자의 대표성과 통제권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임순광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위원장은 "적립금 10조, 용도 불명의 기타적립금 3조를 쌓아놓고도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것이 한국의 대학"이라며 "권리보장문서인 영국의 대헌장 같은 비정규직 없는 대학을 만들기 위한 헌장을 만들자"고 주장했다.
주영재 전국대학노조 위원장은 "정부가 프라임 사업으로 대학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라며 "정부 지원금에 매달리는 학교 당국은 지원금이 줄면 경영을 제대로 할 생각은 않고 인건비부터 줄이려 든다"고 정부와 대학을 비판했다.
이어 "경영이라는 이름으로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현실에서 어떻게 안정적으로 학문을 논할 수 있겠느냐"며 "정규직 채용이 학문 발전의 초석"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기원 전국공공운수노조 서울경인공공서비스지부 부지부장은 "대학은 정부예산 지원 감축을 이유로 학내 노동자 줄이려 하고 그 화살을 제일 먼저 맞는 것은 비정규직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대학이 자본금을 수십, 수백억 쌓아 놓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목을 조이고 있다"고 대학 당국을 비판했다.
정혜경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언젠가부터 교육현장에서 사람이 죽어나가고 최소한의 인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일이 흔하다"며 "대학이 이윤추구의 장이 되고 나서부터 학교는 학문의 전당이 아닌 이전투구의 난장판이 됐다"고 발언했다.
이어 "대학이 이렇게 망가지는 동안 관리감독을 하지 않은 국가의 책임이 크다"며 "적어도 교육현장에서 만큼은 그 어떤 권리도 침해받지 않도록 현장에 있는 모든 노동자들의 힘을 모으겠다"며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헌장은 이해당사자 사이의 약속을 명문화하는 것으로 공대위는 오는 9월까지 '비정규직 없는 대학 헌장 초안'에 대한 의견을 모아 최종 안을 만들어 국회와 대선주자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