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조사 결과 여름철 자연재난 대비 부실 사례 ‘수두룩’

안전처, 2016년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중앙합동점검 결과 발표<br />
전담인력 확보 및 실무자 편성 미흡 등 부실사례 총 365건 적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5-09 18:15:08

△ 회의 주재하는 이성호 국민안전처 차관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여름철 자연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전국 17개 광역시‧도와 31개 시‧군‧구 및 22개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결과 300건 이상의 부실 사례를 적발했다.

국민안전처는 지난달 18~22일까지 환경부‧국토부 등과 합동으로 시행한 ‘2016년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중앙합동점검 결과 총 365건의 미흡사항을 적발했으며 이중 296건에 한해 여름철 자연재난대책기간이 시작되는 15일 이전에 정비하도록 조치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적발된 사항은 △전담인력 확보 및 실무자 편성 미흡(66건) △인명피해 우려지역 관리 미흡(50건) △취약시설 점검·정비 및 안전관리 미흡(77건) △수방자재 관리 및 민간협력 체계구축 미흡(45건) △예방홍보 계획 및 예산확보 미흡(19건) 등이다.

특히 대전 동구의 경우 안전사고 발생 시 주민을 대피시킬 계획이 수립돼있지 않았으며 자연재난에 대비한 홍보계획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우기에 대비해 관련시설을 점검하지도 않은 것으로 드러나 안전사고 대비에 미흡한 지역으로 확인됐다.

부산 중구 역시 시·군·구 24시간 상황전담요원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경남 의령군의 경우 예·경보시스템을 설치할 예산을 확보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범적인 사례도 있었다.

경북 대구시의 경우 스마트폰을 활용해 수방자재의 출납·재고 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고 충청북도의 경우 도내 시·군별 환경에 따라 자체적으로 자율방재단을 운영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인근지자체와 상호 지원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안전처는 “자칫 소홀하기 쉬운 의식을 바로잡고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며 “지적사항을 해당기관에 통보해 신속하게 안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후속 대책으로 오는 13일 여름철 자연재난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5월말에는 민·관 합동으로 인명피해 우려지역과 대규모 공사장 등을 대상으로 표본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세종=포커스뉴스) 이성호 국민안전처 차관이 19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국민안전처 고용회의실에서 열린 특수재난분야 안전정책조정 실무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16.04.19 김기태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