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용산4구역 개발 핵심은 사업성·공공성 모두 확보하는 것"
시, "정비계획안은 기존 계획의 맹점인 공공성까지 보완"<br />
주거·상업·문화 복합지구 형태로 개발될 예정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4-07 11:08:35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7일 지난 8년간 표류했던 용산4구역 정비계획 변경(안)을 통과시키며, 개발 핵심이 사업성과 공공성을 모두 확보하는데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63-70번지 일대 국제빌딩 주변에 위치한 총 5만3066㎡ 규모의 용산4구역은 대규모 공원과 건물이 조화를 이루는 '주거·상업·문화 복합지구' 형태로 개발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 곳은 미국 뉴욕의 배터리 파크(Battery Park), 독일 베를린의 포츠다머 플라츠(Potsdamer Platz) 등을 벤치마킹해 개발된다.
시는 이번 기본구상안을 통해 용산이 지닌 역사성, 장소성을 회복하고, 수익성은 물론 기존 계획의 맹점이던 공공성까지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현장에 파견하고 민관협의체(서울시, 용산구, 조합, 전문가 참여) 구성과 16번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조합집행부 탄생(2015년 5월) 및 시공사 재선정(2015년 12월) 등 사업정상화를 유도해냈다.
특히 시는 이후 기존 계획을 모두 바꾸는 설계변경 끝에 구상안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서울시, 용산구, 조합의 긴밀한 협조로 통상 18개월이 걸리는 구상안 마련부터 정비계획 변경까지의 기간을 8개월까지 단축한 것도 큰 동력으로 작용했다.
또 용산참사와 기존 시공사의 계약해지(2011년 8월)로 사업이 중단돼 파산위기까지 몰렸던 용산4구역 정비사업은, 지난 2014년 8월 조합원들이 박원순 시장에게 사업정상화를 요청하고 서울시가 공공지원에 적극 나서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용산참사의 아픔과 조합 내부의 갈등으로 장기간 중단됐던 용산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이 공공과 조합의 적극적인 소통과 합의를 거쳐 정상화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획지분리로 인한 비효율적인 용도지역 개발을 지양하고, 주변과의 연계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사업성을 확보할 것"이라며 "총괄 건축가의 지휘 아래 공공 건축가를 2명을 투입해 공공성까지 보완할 것이며, 이같은 내용에 대해 조합도 전격 수용했다"고 덧붙였다.용산4구역 정비사업 개발예시도.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