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정보사회, 국가적인 전략 추진돼야 실현 가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전문 인재 육성 필요성 역설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30 15:07:22
△ 보도자료배포용3.jpg
(서울=포커스뉴스) 알파고 쇼크 이후 지능정보 사회와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SW)를 중심에 둔 대대적인 국가혁신 전략이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를 위해선 지능정보 관련 교육과 창의적인 전문 인재 육성이 중요하며 전통산업과 디지털과의 접목도 필수라는 의견이다.
SW정책연구소 3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 사회에 대응하는 SW중심의 국가혁신 전략’ 간담회를 개최했다.
김진형 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전통산업의 구조조정, 일자리의 혁신적 변화가 발생하는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가 빠르게 펼쳐지고 있다”며 “구글 알파고, 스마트홈, 자율주행차등에서 보듯 세계 각국은 새로운 먹거리 창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사회·경제적 대응체계가 절실하고 이는 한 개인이나 집단 차원이 아닌 국가적 차원의 정교하고도 실천 가능한 전략마련이 시급하다”며 “SW를 통한 접근전략이 국가 혁신의 밑바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SW정책연구소는 이날 국가혁신전략으로 사회혁신, 산업혁신, 친SW환경 조성, SW법제도 개선 등 4개 분야 18개 부문 50개 과제를 발표했다. 사회 혁신에는 희망사회, 안전·안심사회와 건강사회 구현을 위해 SW와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혁신, SW안전 및 복지3.0 구현과 지능형 의료 등 총 11개 과제가 담겼다. 산업혁신에는 핀테크, 스마트 농업, 디지털 콘텐츠 육성, 클라우드 기반 공공 데이터 활용체계, 제조업 디지털 고도화 등에 필요한 13개 과제가 선정됐다. 친SW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공공SW 발주제도, 공공데이터 활용, 공개SW, 창업정책, SW전문 인력 양성, SW 연구개발(R&D)체계 등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포함됐다.
김 소장은 특히 지능정보 분야의 전문 인력 육성과 초기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그는 “관련 학자들도 국내에 없는 것은 아닌데 워낙 숫자가 적다보니 분야별로 밸런스가 맞지 않다”면서 “하드웨어도, 데이터베이스도 잘 돼야 하는데 인력 균형이 안 맞다”고 지적했다. 서울대는 관련분야 연구가 전체 학과의 7%에 불과하지만, 스탠포드 대학교는 전체학과의 50%에 달한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갑자기 정부가 나선다고 기술이 발전하지는 않는다”면서“1조원을 투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가 SW중심으로 변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국가 혁신 전략을 지속적으로 보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SW정책연구소가) 사회적 의견을 수렴해 방향을 제시하고 정책과제를 도출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30일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에 대응방안을 토론하는 간담회를 열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