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월호 현장 재조사 5개월 소요…선체인양 지연 논란

이미 용역업체가 발표한 현장조사 보고서 결과와 유사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29 22:06:26

△ 가려진 진실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진행해온 세월호 관련 해양 현장조사 목적이 인양 지연을 위한 것이 아니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2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2차 청문회에서 신현호 특조위원은 "영국TMC의 보고서와 정부가 자체조사 후 발표한 보고서 결과가 대부분 일치한다"며 정부의 현장 재조사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세월호 참사 직후 정부는 인양 관련 컨설팅을 위해 영국계 기업인 TMC에 용역을 맡겼다. 이 업체는 2014년 4월30일에 컨설팅을 위한 현장조사에 투입돼 약 한 달에 걸쳐 보고서를 마무리 한 뒤 인양 가능 결론을 냈다.

그러나 정부는 이후 해양 현장조사를 5개월에 걸쳐 다시 진행했다.

신 위원은 "정부차원의 중복조사를 진행하기보다 TMC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인양작업을 지연시켰다"고 박준권 전 해양수산부 선체처리기술검토TF 단장에게 물었다.

박 전 단장은 "당시에 현장조사가 안돼 있어서 구체적 데이터가 없었다. 그래서 그런 데이터가 필요했기 때문에 검토를 했다"면서도 정부의 현장조사 기간이 길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참사 이후 실종자 유실방지 조치에 대한 질의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정부 관계자들이 명확하게 답변하지 못하면서 현장에 있던 방청객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실제로 세월호 사고 발생 51일이 지나 사고해역에서 약 40km가 떨어진 지점에서 실종자 시신이 발견된 바 있다.

김현태 해수부 세월호인양추진단 부단장은 "사고 직후 7개 외부 업체에 의뢰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여러가지 유실방지 방안이 제시돼 있어 논의 중이었다"며 "유실방지를 위한 사각펜스를 바로 설치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서울=포커스뉴스) 28일 오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제2차 청문회가 열렸다. 이날 청문회에 참석한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이 이석태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2016.03.28 양지웅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