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 "역세권 2030 방안은 청년 주거불안 해소 위한 것"
민간과 역세권 결합 방안을 통해 청년 임대주택 제공<br />
용도지역 상향을 통해 민간사업자 참여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23 11:56:41
(서울=포커스뉴스) 박원순 서울시장은 23일 서울 시청 브리핑실에서 '역세권 2030 청년주택' 대량공급 방안을 발표하고 제도 도입 배경에 대해 밝혔다.
박 시장은 "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률과 가파른 주거비 상승으로 2030 청년세대는 고통 받고 있다"며 "특히 요즘 청년들의 대부분 어려움은 불안한 주거 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운을 뗐다.
박 시장은 "서울시 '청년정책 재구성 기획연구'에 따르면 서울의 청년(만 19세~34세) 전체인구는 229만명이며, 이중 주거빈곤 청년은 무려 23% 수준인 52만명에 이른다"며 "특히 서울의 가파른 집값 상승은 이들을 영락 없는 '전세난민'으로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 같이 더 이상 심각한 청년 주거문제를 좌시할 수 없다고 판단했고, 이를 풀어나갈 수 있는 현명한 방법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며 "그 결과 찾은 혁신적인 방법은 민간과 역세권의 결합 방안이었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시는 제2·3종 일반지역으로 묶여있는 역세권 용도지역을 준주거지역, 상업지역까지 상향해 용적률을 높이고, 심의허가절차를 간소화해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또 "역세권에 주목한 이유는 이미 탄탄한 인프라가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또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개발여력이 충분한 점도 한 몫 했다"며 "무엇보다 잠재력이 있는 역세권 많다는 점에 착안해 이번 제도를 도입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종합하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서비스 시설이 충분하지만 각종 규제에 묶여 개발밀도가 서울시 평균에도 못 미치는 역세권 지역의 고밀도 개발을 허용하고 청년들을 위한 임대주택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원순 시장은 "모두 안정된 주거에서 행복한 삶을 살 권리가 있다"며 "청년이 푸르러야 우리 사회가 푸르게 된다. 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것이며, 앞으로도 제2, 제3의 정책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서울시 시청 브리핑실에서 박원순 시장이 역세권 2030 청년주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