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노년기 잠꼬대, 치매·파킨슨 의심해야"

정기영 교수 "램수면행동장애·신경퇴행성질환 단초 되는 대뇌 네트워크 이상"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23 10:39:45

(서울=포커스뉴스)수면 중 잠꼬대가 심하거나 발길질을 하는 렘수면행동장애는 치매나 파킨슨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서울대병원은 본원의 신경과 정기영 교수가 렘수면행동장애는 치매나 파킨슨으로 대표되는 신경퇴행성질환의 단초가 되는 대뇌 네트워크 이상이 있음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는 최근 열린 아시아수면학회에서 발표됐다.

렘수면행동장애는 꿈을 꾸면서도 근육의 긴장도가 떨어져 있지 않아 꿈의 내용을 실제로 행동화하는 것을 말한다.

정 교수팀은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20명과 정상인 10명을 대상으로 수면 전후 뇌파검사를 했다. 이 결과 인지장애가 없음에도 대뇌 네트워크 이상이 치매나 파킨슨의 초기단계와 유사함을 밝혔다. 지금까지는 인지장애가 동반된 렘수면행동장애에게만 뇌파에서 이상 소견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렘수면행동장애는 대개 50대 남성들에서 발생한다. 보통 기분 나쁘고 폭력적 꿈을 꾸면서 행동으로 그대로 나타나 소리를 지르고, 팔다리를 과격하게 휘젓거나 옆에서 자는 사람을 때리거나 주먹으로 벽을 치는 행위를 보인다. 특히 노년기에 발생하는 렘수면행동장애는 증상 발생 후 5~10년이 지나면 상당수가 파킨슨병 및 치매와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정기영 교수는 “대뇌 네트워크 이상은 렘수면행동장애가 신경퇴행성 과정의 초기 변화일 가능성이 크다. 노년기에는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전문의와 상의하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렘수면장애로 진단되면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운동장애와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자세한 진단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렘수면행동장애는 치매나 파킨슨병을 예측하고, 질병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추적 관찰은 필수다.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 교수.2016.03.23.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