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비리' 이상득 재판…"롯데 호텔에 개인사무실 없다"
중요사안 아니지만 여론 의식한 듯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14 17:58:56
△ 이상득 전 의원, 검찰 소환
(서울=포커스뉴스) “호수 불상의 롯데 개인사무실은 없다. 시간 단위로 빌리는 컨퍼런스 룸이다”
공소사실과 관련이 없는 다소 엉뚱한 발언이 나왔다.
포스코 일감을 측근에게 몰아준 혐의로 불구속기소된 이상득(80) 전 새누리당 의원의 세 번째 재판에서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부장판사 김도형) 심리로 14일 열린 3차 공판준비기일에서 이 전 의원의 변호인은 “짚고 넘어가고 싶다”며 한 언론사의 기사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해당 기사에는 ‘이른바 MB맨들이 롯데호텔을 좋아한다’,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이 건설업자에게서 금품을 받은 곳도 롯데호텔 객실로 유죄가 선고됐다’, ‘이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 천신일 세중회장이 금품을 받은 곳도 롯데호텔이다’ 등이라는 내용이 골자를 이뤘다.
또 해당 기사는 검찰의 공소장을 근거로 ‘이상득 전 의원은 2009년 8월경 서울 중구 을지로 ‘호수 불상(알 수 없는)’ 롯데호텔 개인 사무실에서 포스코 고위 임원들에게서 국방부의 고도제한을 완화해 신제강공장 증축공사가 재개될 수 있게 도와달라는 부탁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변호인은 “피고인은 롯데호텔에서 열린 조찬모임에 참석했다가 컨퍼런스룸에서 포스코 관계자를 만난 것 뿐이다. 마치 개인 사무실이 있는 것처럼 보도돼 무슨 흑막(黑幕)이 있는 것처럼 보도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사과정에서 이러한 사실을 모두 설명했는데도 검찰은 이러한 내용을 고치지 않았다”면서 정정을 요구했다.
이 전 의원의 뇌물수수 혐의와 크게 관련이 없는 사안이지만 여론을 의식한 발언이다.
변호인은 재판 직후 기자의 질문에 “당하는 입장에서 얼마나 억울했으면 언급했겠느냐”면서 “좋은 기사도 아니고 비난·조롱의 취지가 있는 기사였다. 피고인의 사회적 평가가 저하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날 준비기일은 양측의 중요 증인신청을 조율과정이 진행됐다.
재판부는 “정준양(67) 전 포스코그룹 회장 등 사건관계인이 많고 배임과 뇌물부분이 분리 진행돼 다소 공판절차가 복잡하다”면서 “재판부가 구체적 심리계획을 세워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검찰은 지난해 11월 11일 이 전 의원에게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제3자뇌물공여 혐의를 적용해 불구속기소했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이 군사상 고도제한 규정으로 증축공사가 중단됐던 포스코 신제강공장 문제를 해결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이를 해결해주는 대가로 자신의 측근을 통해 티엠테크 등 포스코 협력업체 3곳을 운영하며 포스코 일감을 몰아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2008년 설립된 티엠테크는 제철소 공장 설비를 보수·관리하는 업체로 매출 대부분을 포스코켐텍에 의존하며 연간 170억~18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이 전 의원의 포항 지역구 사무소장을 지낸 박모씨가 실소유주로 알려졌다.
티엠테크의 실소유주로 지목된 박씨는 정 전 회장 취임 3개월 뒤인 2009년 5~6월 티엠테크 지분을 전량 매입해 포스코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수사가 한창이었던 지난 6월 지분을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과정에 정준양 전 회장이 관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포스코 비리에 연루된 혐의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의원이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된 지난해 10월 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검찰청으로 들어서고 있다. 조종원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