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의 마지막 숨결이 깃든 '영월부 관아' 사적 지정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4호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08 09:56:14

△ 2.png

(서울=포커스뉴스) 조선 6대 임금인 단종(1441~1457)이 비극적인 생을 마감한 '영월부 관아'가 사적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영월부 관아'(寧越府 官衙)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4호로 지정한다고 8일 밝혔다.

영월부 관아는 조선 시대 영월부의 행정관청이다. 현재는 사신이나 관리들의 숙소 등으로 사용됐던 객사(客舍)와 누각 건물인 자규루(子規樓)가 남아 있다.

객사는 1396년(태조 5)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1791년(정조 15)에 고쳐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서익헌(西翼軒), 중앙 정청(正廳), 동익헌(東翼軒)이 일렬로 배치된 구조다. 특히 동익헌에는 '관풍헌(觀風軒)'이라는 편액(扁額)이 걸려 있다.

관풍헌은 1457년(세조 3) 노산군으로 강봉된 단종이 영월 청령포에 유배됐다가 홍수가 나자 처소를 옮겨 침전으로 사용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단종은 같은 해 10월 사약을 받고 관풍헌에서 승하했다고 전해진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인 자규루는 원래 명칭이 '매죽루(梅竹樓)'였다. 관풍헌에 머물던 단종이 이곳에 자주 올라 소쩍새의 구슬픈 울음소리에 자신의 처지를 빗댄 시(자규시)를 읊었다고 해 '자규루'라 불리게 됐다.

2013년과 2015년에 시행된 발굴조사 결과 건물지, 박석시설, 내삼문 터를 비롯해 객사 건물로부터 내삼문 터에 이르는 보도시설과 관풍헌으로부터 자규루로 연결된 보도시설 등을 확인했다.

영월부 관아는 조선 후기에 고쳐 지을 당시의 터와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비운의 왕 단종의 애달픈 삶이 전해지는 역사적 장소라는 의미를 지닌 곳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강원도‧영월군과 협력해 이번에 사적으로 지정된 '영월부 관아'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정청(正廳): 관아에서 중심이 되는 본관 건물
☞익헌(翼軒): 정청의 좌우에 날개처럼 잇댄 건물문화재청은 8일 강원도 영월군 '영월부 관아'(寧越府 官衙)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4호로 지정했다. 사진은 영월부 관아 객사 전면 모습.문화재청은 8일 강원도 영월군 '영월부 관아'(寧越府 官衙)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4호로 지정했다. 사진은 영월부 관아 자규루 모습.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