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노동자 권리 지켜주세요"…서울 도심 울리는 '한(恨)'

민주노총, 5일 서울광장서 전국여성노동자대회 개최<br />
"저성과자 해고지침 철회·직장 내 여성 폭력 중단"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05 19:08:48

△ 여성 권익 향상, 양성평등 촉구 집회

(서울=포커스뉴스) “정부는 여성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라.”

5일 오후 2시 폭우가 쏟아지는 서울시청 앞 서울 광장에서는 거센 빗소리를 벗 삼아 여성 노동자들의 인권 신장을 호소하는 500여명(주최측 추산)의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이날 108주년을 맞이하는 ‘3.8 세계 여성의날’을 앞두고 전국여성노동자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진행을 맡은 정혜경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108년 전 평등한 임금과 모성보호, 적정 노동시간, 사회권 보장 등을 요구하며 행진했던 여성노동자들의 요구가 지금도 달라지지 않았다”며 “세계 여성의 날은 기념이 아닌 투쟁의 정신을 계승하는 날”이라며 대회 취지를 설명했다.

이들은 투쟁선언문을 통해 최근 정부가 발표한 노동 지침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노총 등은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악 양대지침 발표는 헌법에 보장된 노동자의 인권을 시행령으로 짓밟겠다는 것”이라며 “특히 우리 여성노동자는 저성과자해고 지침으로 심각한 고용위기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러한 정부 지침은 남녀 고용의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된 1987년 이전의 시대로 여성의 지위를 돌리자는 일종의 ‘반여성적 조치’”라고 주장했다.

육아휴직과 임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성희롱 피해 당사자들인 여성에 대해 사업주들이 고용상 불이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현재의 임금 체계에 대해 성차별적 요소가 반영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의 임금 평등은 아직도 요원한 상황”이라며 “사업장의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넘어 여성을 저임금 산업으로 내몰은 임금 체계는 개선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구체적인 선언문에는 ▲저성과자 해고지침 철회 ▲양질의 일자리 보장 ▲국가 책임 돌봄 실현 ▲최저임금 대폭인상 ▲직장 내 여성 대상 폭력 중단 ▲일본군 위안부 협상 무효 ▲노동개악 및 비정규직 철폐 등이 포함됐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한국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는 지난해 12월 한국과 일본 정부가 합의한 일본군위안부 협상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우기도 했다.

한 대표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배제한 채 합의한 협상은 무효”라며 “위안부 문제 해결을 통해 식민지 시대 여성의 역사를 정의롭게, 보다 제대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성 아르바이트생들에게 일방적으로 가해지는 외모 평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용윤신 알바노조 사무국장은 “여성 아르바이트생들에게 유달리 외모 관리를 강요받는다. 립스틱 색깔도 지정해주는 회사도 있다”며 “여성 노동자들이 외모가 아니라 실력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1908년 3월 8일 미국의 1만5000여명의 여성 노동자들은 뉴욕의 루트커스 광장에서 선거권과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시위를 벌였다.

이들의 시위를 시작으로 세계 곳곳에서 여성 노동자들의 권리 향상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고 지난 1975년 국제연합(UN)은 3월 8일을 ‘세계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했다.(서울=포커스뉴스) 5일 오후 세계여성의날(3월8일) 기념 제32회 한국여성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이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여성 권익 향상과 양성평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2016.03.05 오장환 기자 (서울=포커스뉴스) 5일 오후 세계여성의날(3월8일) 기념 제32회 한국여성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이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을 향해 행진하고 있다. 2016.03.05 오장환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