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바다 위에서 LNG 뽑고 정제·하역한다”

2012년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사 발주한 FLNG 명명식 개최<br />
FLNG 건조 완료…4월 최종인도 예정<br />
LNG운반선, LNG 재기화 설비 분야에 이어 해양플랜트 경쟁력 강화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04 22:07:10

△ 사진3.jpg

(서울=포커스뉴스) ‘바다의 LNG 공장’으로 불리는 대우조선의 세계 최초 FLNG(Floating LNG: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 설비)가 모습을 드러냈다.

대우조선해양은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나스(Petronas)사가 지난 2012년 6월 발주한 FLNG에 대한 명명식을 가졌다.

명명식에는 대우조선해양 정성립 사장과 페트로나스사 완 즐키플리 완 아리핀 회장을 비롯한 내외귀빈 100명이 참석했다.

완 아리핀 회장의 부인 아주라 아흐마드 타주딘 여사가 대모(代母) 역할을 맡았고 설비명은 ‘PFLNG 사투(PFLNG SATU, 이하 페트로나스 FLNG)' 로 정해졌다.


페트로나스 FLNG는 세계 최초로 신조된 FLNG라는 상징성을 갖는다.

심해에 묻힌 액화천연가스를 채굴한 뒤 이를 정제하고 액화하면서 저장과 하역까지 자체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이를 위한 최첨단 전문설비가 최초로 실전에 투입된다는 점 때문에 조선·해양업계의 이목을 끈 바 있다.

여러 기능을 한 곳에 모아놓은 설비답게 규모 또한 웅장하다. 길이 365m, 폭 60m 등 규모로 에펠탑을 뉘어놓은 것보다 길고 면적은 축구장 3.6배에 달한다.

FLNG 상부에 설치된 LNG 생산구조물 무게만 4만6000톤에 달하고 선체(Hull) 부분에는 최대 18만㎥의 액화천연가스와 2만㎥의 컨덴세이트(가스전에서 나오는 원유)를 저장할 수 있다.

세계 최초로 시도된 FLNG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대우조선해양은 회사가 보유한 LNG 기술력을 총동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전세계 조선소 중 가장 많은 LNG선을 수주·인도한 경험을 갖고 있고 진화된 설비인 재기화(Re-gasification) 설비 분야에서도 현존하는 모든 선종을 수주하는 등 경쟁력을 자랑한다.

설치되는 장비가 많고 그 과정도 복잡한 FLNG를 성공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대우조선해양은 생산현장을 나눠 각 지역 책임자를 임명한 뒤 배관, 전장, 보온 등 공정을 통합관리해 생산성을 높였다.

또 부서간 협업으로 리스크를 사전 발견하는 등 프로젝트 관리에 만전을 기했다.

그 결과 수주 25개월 만에 선박 진수를 마칠 수 있었고 이후 1년여만에 4만6000톤 규모의 상부구조물 설치를 완료했다.

이러한 노력에 대해 페트로나스 측이 2014년 열린 진수식에서 “처음 시도하는 프로젝트임에도 철저한 작업준비와 안전관리를 통해 뛰어난 품질을 이끌어낸 대우조선해양의 건조능력이 놀랍다”고 찬사를 표하기도 했다.


페트로나스 FLNG는 오는 4월 말 선주 측에 최종 인도될 예정이다.

인도 후에는 말레이시아 사라와크주 북서부 해역에 위치한 카노윗 유전에 투입되어 연간 최대 120만톤에 달하는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할 계획이다.

‘바다의 LNG 공장’으로 불리는 FLNG는 기존 해양가스전의 LNG 생산방식에 비해 비용, 생산 절차, 이동성 등 면에서 장점이 뚜렷하다.

기존에는 고정식 해양 채굴설비에서 생산한 가스를 장거리 파이프라인을 통해 육상으로 보낸 뒤 별도 육상시설에서 액화·저장 단계를 거쳐야 했다.

FLNG는 천연가스 생산~하역에 필요한 모든 설비를 갖추고 가스전 위에 계류하면서 가스생산을 일괄처리할 수 있어 기존 육상 액화·저장 설비, 파이프라인 등 대규모 설비의 건설·관리가 불필요한 혁신적인 설비다.

또 해상에서 LNG를 하역할 수 있어 기존 방식보다 운반절차가 간편하고 고정식 채굴설비와 달리 이동이 가능해 하나의 가스전 생산이 완료되면 다른 가스전으로 이동해 LNG를 생산할 수 있는 점 또한 주목받는다.

조선업계는 지난해 12월 체결된 파리협정 등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향후 FLNG 수요 또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석탄이나 석유에 비해 클린 에너지(Clean Energy)로 LNG가 주목 받으면서 수요가 매년 급증하고 있어 원거리 해상의 가스전에 대한 개발이 증가 추세다.

이에 따라 특화된 FLNG의 발주도 역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명명식에 참석한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신성장동력인 FLNG를 전세계에서 가장 먼저 건조했다는 점에서 이번 명명식은 큰 의미를 갖는다”며 “전통의 LNG 명가인 대우조선해양은 앞으로도 LNG 분야의 혁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지난 4일 대우조선해양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세계 최초로 건조한 PFLNG SATU. 지난 4일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대우조선해양 정성립 사장(오른쪽 두번째), 페트로나스사 회장 부인인 아주라 아흐마드 타주딘(오른쪽 세번째) 여사, 페트로나스사 완 즐키플리 완 아라핀(오른쪽 네번째) 회장 등이 참석해 'PFLNG SATU' 명명식을 축하하고 있다. 지난 4일 대우조선해양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세계 최초로 건조한 PFLNG SATU.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