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후 저층주거지 관리 및 재생 모델 개발 착수
뉴타운 해제지역 등 저층주거지 관리 및 재생모델 개발 용역 시행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3-04 09:43:35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가 뉴타운 해제지역을 비롯해 서울시내 111㎢에 분포돼 있는 저층주거지(4층 이하 단독·다가구·다세대 주택밀집지역)의 노후화를 막고 지역별 특성에 맞게 관리하기 위해 저층주거지 관리 및 재생 모델 개발에 착수한다.
또 주거재생사업지역 및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 중 2개소를 선정, 다양한 주거재생기법을 적용해 저층주거지 실증적 재생 모델로 개발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뉴타운 해제지역 등 저층주거지 관리 및 재생모델 개발' 용역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용역은 계약일로부터 10개월이며, 용역비는 4억8000만원이다. 도시 분야, 건축분야, 공동체분야 3개 이내 업체가 분담이행방식으로 참여 가능하다.
시는 그동안의 재개발·재건축 등 개발 기대심리로 인한 관리소홀, 계속되는 경기침체에 따른 건설심리 위축으로 저층주거지 노후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배경을 밝혔다.
실제로 기존에 무분별하게 지정됐던뉴타운 구역이 해제되고 난 이후 관리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서울의 저층주거지는 서울시 주거지(총 313㎢) 중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이 중 72%가 20년 이상 된 노후 주택이어서 이를 지역 사정에 걸맞게 관리하고 활발히 재생시켜 나가는 일이 시급한 실정이다.
서울시는 용역을 통해 ▲서울의 저층주거지 현황과 여건 분석 ▲기존 재생사업 수단·모델에 대한 재진단 및 활성화 방안 마련 ▲서울의저층주거지 비전과 보편적 관리 방안 설정 등을 도출할 계획이다.
특히 뉴타운 해제지역, 주거재생활성화지역, 특성화지역 등을 정밀 분석한 후 유형화해 맞춤형 개발방안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또 주택에너지 절약·효율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주차장·쓰레기 처리·노유자시설 등 주거지 생활기반시설 정비방안 등도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저층주거지내 노후한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빈집 활용, 자투리땅을 이용한 협소주택, 쉐어하우스(Share-House), 미니 구획정리사업 등의 새로운 '서울형 소단위 재생기법'을 개발하고 지원 및 실행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사업본부장은 "뉴타운·재개발 등 해제지역을 비롯해 서울시내 주거지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저층주거지의 관리 및 주거지 재생 모델개발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