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무선충전·3D프린터 등 ‘10대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선정

스마트 웨어러블·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스마트 에코빌딩 등 선정<br />
2018년까지 상용화로, 2020년 시장규모 약 2000억원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2-24 10:00:09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무선충전, 3D프린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등 신제품의 시장 출시 가속화를 위해 미래 유망 시험인증서비스를 선정하고 상용화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4일 오후 2시 서울 구로구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2016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발표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유망 시험인증서비스 로드맵을 발표하고 서비스별 상용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시험인증 분야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선정된 유망서비스는 △국가기간산업 기능안전성 시험인증 △용량별 무선충전 시험인증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전성 시험 △3D 프린팅 시험평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시험인증 △공산품에 대한 흡입안전성 평가 △스마트 에코 빌딩 시험인증 △M2M 기반 사물통신 상호운용성 시험 △포장물류 안전성 평가 △철도 부품의 신뢰성 평가 등 10개다.

올해 유망서비스 선정은 지난해와 달리 시험인증기관 종사자와 고객을 대상으로 투표를 도입해 객관성을 높이고, 단기간에 상용화가 가능한 서비스에 집중했다. 사업화 준비도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바이오융합 소재 평가 등 7개가 제외되고, 전자상거래의 증가에 따라 포장물류 안전성 평가가 신규 선정됐다.

정부는 신제품의 시장 출시를 지원하고, 시험인증을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유망 시험인증서비스를 발굴하고 상용화를 독려하고 있다. 로드맵에 따르면 10대 유망서비스 대부분이 2018년까지 상용화가 완료되고, 2020년에는 시장규모가 약 2000억원에 이르고, 2700여명의 고용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10대 유망서비스 중에서는 자동차 기능안전성 평가와 소용량 무선충전 인증서비스가 가장 먼저 상용화됐다.

자동차 기능안전성 평가는 외국계 기관이 독점하고 있는 시장에 국내 시험인증기관이 최초로 진입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기기에 대한 무선충전 인증서비스는 기업의 신제품 개발기간 단축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윤종연 국표원 국장은 “어려운 수출 여건에서도 3D 프린팅,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등 신산업을 수출동력화하기 위해서는 시험인증 업계가 한 발 앞서 시험인증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도 다음 달 ‘시험인증 서비스산업화 지원사업’을 공고하는 등 시험인증기관이 유망서비스 상용화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웨어러블 기기 2015.09.01 ⓒ게티이미지/멀티비츠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