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작년 실적 저조, 1조6천억 규모 구조조정 비용 영향"

당기순손실 1조7천억원 중 1조6천억원 일회성 비용<br />
일회성 비용 제외시 영업이익 8104억, 당기순손실 878억 <br />
㈜두산, 두산중공업은 2015년 별도기준 영업이익 2134억, 2282억원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2-04 16:17:54

△ 2015-10-28_104331.jpg

(서울=포커스뉴스) 두산그룹이 지난해 저조한 실적은 구조조정 등에 따른 일회성 비용 증가 때문이라고 밝혔다.

두산그룹은 4일 2015년 실적 공시를 통해 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18조9604억 원, 영업이익 2646억 원, 당기순손실 1조7008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두산 측은 “영업이익과 당기순손실 숫자가 눈에 띄지만 내역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부분의 손실 수치가, 세계적 저성장 기조에 맞춘 해외 과잉설비 정리를 포함한 자회사 구조조정과 대손상각 등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라고 설명했다.

두산은 구조조정, 대손상각, 자산감액 등의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고 실제 영업에 따른 실적을 보면 영업이익은 8104억 원, 당기순손실은 878억원이라고 강조했다.

자회사별 일회성 비용을 살펴보면 강력한 구조조정을 실행한 두산인프라코어가 7349억원, 두산중공업 3665억원, 두산건설 3881억원, 두산엔진 1235억 원이다. 금액을 합치면 총 1조6130억원에 달한다.

올해 두산그룹은 자회사 구조조정 효과 3000억원, 중공업 부문 수주 회복 등에 따른 매출 증대 효과 3100억원, 원가 절감 등 426억원 등의 실적 개선 요인을 바탕으로, 공작기계 부문 매각 후를 기준으로 매출 19조5871억원, 영업이익 1조4663억원 달성을 목표로 내세웠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454.2% 향상 수준이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연료전지사업 등 ㈜두산 자체사업은 지속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두산중공업은 플랜트사업 수주 상승세가 이어져 올해 11조원대 수주를 목표로 한다”며 “두산인프라코어는 구조조정 효과와, 북미시장에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는 밥캣 소형건설장비사업 등 각 사업부문 실적 개선에 힘입어 턴어라운드를 자신한다”고 말했다.

한편 두산은 별도 기준 실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두산 측은 “연결기준 회계 방식으로는 상위 지배회사가 재무제표상 자회사 실적을 그대로 장부상 반영하게 되는 구조”라며 “각사 실적을 제대로 읽으려면 별도기준이나, 소속 해외법인 등 자체사업까지 합한 이른바 관리연결기준 재무제표를 보는 게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두산그룹의 경우, 상위 지배회사인 ㈜두산과 두산중공업은 양호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는데, 경영실적이 좋지 않은 자회사들의 실적이 장부에 반영된 재무제표만 보게 되면 실제와 달리 읽을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두산과 두산중공업은 2015년 별도기준으로 영업이익이 각각 2134억원, 2282억원이다. 특히 ㈜두산은 연료전지 등의 해외법인을 포함한 직접 소속사업만(관리연결기준) 보면 매출이 3조 2582억원, 영업이익은 2357억원이다. 2016.01.06 송상현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