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소비자 권익보호 강화, ‘더 쉽고 편하게’ 비행기 이용한다

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서 ‘항공교통이용자 권익보호방안’ 확정<br />
항공권 취소·환불, 항공기 지연·결항 등 ‘피해 유형별 보호기준’ 마련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1-15 10:08:26

△ ㅗㅗ.jpg

(서울=포커스뉴스) 정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76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항공교통이용자 권익보호방안’을 논의·확정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항공 피해상담 건수는 2010년 1597건에서 2012년 2931건, 2014년6789건으로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항공운송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급증하고 있는 소비자 불편과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제적인 수준으로 항공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항공교통이용자 권익보호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자주 발생하는 피해를 사전 예방하고, 발생된 피해로부터 소비자를 신속히 보호하기 위해 하반기에 항공교통이용자 보호기준을 제정할 계획이다.

기준에는 △항공권 취소·환불 △항공기 지연·결항 △수하물 분실·파손 등 피해 유형별로 소비자 보호기준이 명시된다. 항공사가 보호기준을 위반하는 경우 과태료 부과 등의 제재를 통해 이행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주요 피해유형별 ‘항공교통이용자 보호기준(안)’은 다음과 같다.

소비자 피해의 주요 원인(2014년 피해건수의 54%)인 항공권 취소 수수료, 환불 지연 관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토부·공정위 협업으로 연내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예를 들면 항공사가 항공권을 표시·광고하는 경우 소비자가 항공권의 환불수수료, 환불기간 등의 조건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글자크기․색상 등을 차별화하여 강조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항공사가 운항스케줄 변경시 항공권 예약·구매자에게 전화, 문자 등을 통해 고지하도록 의무화할 예정이다.

수하물 분실·파손시 배상책임 갈등과 관련, 항공사가 수하물 접수시 위탁수하물 금지품목(유리, 고가품 등) 등을 사전고지하고, 웹사이트·운송약관 등에 명시해야 한다.

탑승후 계류장 지연(기상악화, 관제·안전 등 관련 정부기관 명령 등 안전·보안상 대기 제외)과 관련해서는, 승객을 탑승시킨 채 계류장내 장시간(국제운송 4시간, 국내운송 3시간) 대기를 금지해 계류장 지연을 억제할 예정이다.

계류장 지연시 승객들에게 △매30분마다 지연사유와 진전내용 고지 △음료·의료서비스 등 지원을 의무화해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적극적인 소비자 피해예방 및 보호를 위해 정부 모니터링 강화, 피해구제 절차 개선도 추진한다.

정부는 항공사가 운송약관을 제·개정하는 경우 국토부에 신고(위반시 500만원 이하 과태료)하도록 해 사전 심사를 강화하고, 국제조약․상법과 달리 항공사에게 유리하게 작성돼 소비자 피해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개선토록 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소비자가 항공사에 피해구제 신청을 위해 항공사지점 등을 방문해야만 했으나, 앞으로는 △온라인(항공사 홈페이지 등) △공항 안내데스크 등을 통해 쉽게 피해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외국항공사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일부 외국항공사는 국내전화가 없어 피해상담 자체가 쉽지 않은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외국항공사의 국내전화 운영이 의무화된다.

소비자의 맞춤형 선택을 지원하고, 건전한 시장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항공사-소비자간 정보비대칭 해소도 추진한다. 국토부에서 실시중인 항공교통서비스 평가(격년), 항공교통서비스보고서(매년) 항목에 국민의 서비스 수요를 반영해 재구성하고 분기별로 유용한 정보를 시의성 있게 공개한다.

관계기관·업계·전문가·소비자로 구성된 ‘항공교통이용자 보호협의회’를 상반기 내에 구성·운영, 소비자 피해사례 분석, 효율적 예방․구제방안 논의 등 협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항공 피해구제 건수와 피해유형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