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4)_기아차,_신형_k7_사전_미디어_설명회_개최.jpg
(서울=포커스뉴스) 기아자동차가 2009년 첫 출시 이후 7년 만에 풀체인지(완전변경) 모델인 ‘올 뉴 K7(ALL NEW K7)’을 11일 공개했다.
기아자동차는 이날 남양연구소(경기도 화성시 소재)에서 이달 말 출시 예정인 ‘올 뉴 K7(ALL NEW K7)’의 사전 미디어 설명회를 갖고 12일부터 사전 계약에 돌입한다. 신형 K7이 그랜저가 이끌고 있는 준대형 시장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킬 것인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올 뉴 K7은 '한 차원 높은 격과 상품성을 갖춘 프리미엄 세단을 목표로 준대형 세단 고객들이 가장 중시하는 속성인 '고급스러움'을 구현하는 것에 모든 초점을 맞춰 개발됐다.
현대기아차 총괄 PM 담당 정락 부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K7은 차세대 프리미엄을 향한 일념통천(一念通天)의 열정이 담긴 결정체”라며 “고객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프리미엄’이라는 단어에 철저히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올 뉴 K7은 국산 최초로 ‘전륜 8단 자동변속기’가 탑재, 이전 모델 대비 연비 향상과 함께 프리미엄 세단으로서의 부드러운 주행성능을 극대화 했다. 전 세계 완성차 업체 최초로 기아차가 독자개발에 성공한 전륜 8단 자동변속기는 총 3년 2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해외 76건, 국내 67건 등 총 143건의 특허 출원 끝에 완성된 최첨단 변속기다.
기존 6단 자동변속기 대비 부드러운 변속감은 물론 연비가 개선되고 중량이 절감되는 등 타사 동급 변속기 대비 월등한 경쟁력을 확보했다. 다단화를 통해 기어비 폭이 기존 6단 자동변속기 대비 34% 확장, 저단영역에서는 발진 및 가속 성능이 향상되고 고단영역에서는 연비 개선과 함께 정숙한 주행감을 실현했다.
특히 다단화로 인해 부품 수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변속기 자체 무게가 기존 6단 자동변속기 대비 3.5㎏ 줄어들었다.
올 뉴 K7은 가솔린 모델 2종(2.4, 3.3), 신규 도입된 2.2 디젤 모델, 3.0 LPi 모델 등 총 4가지 엔진으로 운영된다. 여기에 올해 하반기 하이브리드 모델을 추가해 '올 뉴 K7'의 라인업은 총 5개로 확대된다.
특히 3.3 가솔린 모델과 2.2 디젤 모델은 고급스러운 승차감이 특징인 람다Ⅱ GDi 개선 엔진과 동급 디젤 최고 연비를 자랑하는R 2.2 E-VGT 엔진이 각각 탑재되고, 국산 최초로 전륜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됐다.
3.3 가솔린 모델은 최고출력 290마력(ps), 최대토크 35.0㎏·m의 엔진성능을 구현했으며, 공동고시 신연비 기준 복합연비 10.0㎞/ℓ로 이전 모델의 3.0 가솔린과 동등한 수준의 연비를 구현했다.
2.2 디젤 모델은 최고출력 202마력(ps), 최대토크 45.0㎏·m, 복합연비 14.3㎞/ℓ로 동급 디젤 중 가장 높은 연비를 달성했다. 이와 함께 2.4 가솔린 모델은 세타Ⅱ GDi 개선 엔진이 탑재돼 1,500rpm대 저중속 영역에서의 성능을 강화, 실사용 구간에서 더욱 경쾌한 가속감과 향상된 주행성능을 제공한다. 최고출력 190마력(ps), 최대토크 24.6㎏·m, 복합연비는 11.1㎞/ℓ의 엔진 성능을 확보했다.
올 뉴 K7은 전장 4,970㎜, 전폭 1,870㎜, 전고 1,470㎜, 축거 2,855㎜의 제원을 갖췄다. 특히 실내공간을 좌우하는 축거는 동급 최대 크기로 이전 모델 대비 10㎜ 확대해 넉넉한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운전석과 후석의 힙포인트(차량 시트에 앉았을 때 바닥부터 둔부까지의 높이)를 낮추고 헤드룸(머리부터 천장까지의 공간)을 늘리는 등 운전자뿐만 아니라 모든 탑승객이 여유롭고 편안한 드라이빙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외관 디자인은 △음각 타입의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돼 고급스럽고 대담해진 전면부 △풍부한 느낌의 면처리와 스포티한 비례로 속도감이 느껴지는 측면부 △간결하면서도 볼륨감 있게 마무리된 후면부를 통해 세련되고 품격있는 모습으로 완성됐다.
이와 함께 알파벳 'Z' 형상으로 빛나는 '올 뉴 K7'만의 독창적인 헤드 램프와 브레이크 램프가 적용돼 주·야간 주행시는 물론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순간에도 차량의 고급스러움이 돋보일 수 있도록 했다.
또 대형 프리미엄 세단에 버금가는 최고급 안전·편의사양을 갖췄다. 고객의 안전한 주행을 지원하기 위해 △후측방 충돌 회피 지원 시스템(SMART BSD; Smart Blind Spot Detection) △긴급제동 보조 시스템(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 Advanced Smart Cruise Control / 차간 거리 제어 기능)이 탑재됐다.
특히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의 일부 시스템인 '고속도로 안전구간 자동 감속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안전구간 제한속도 초과 운행시 자동으로 감속, 고객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했다.
가격도 고객에 눈길을 끌 수 있는 합리적인 정도로 책정됐다. 먼저 2.4 가솔린 모델과 2.2 디젤 모델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8인치 내비게이션 △운전석 통풍시트 △전자식 파킹브레이크 등 고급사양을 기본화하고도 각각 3080만~3110만원, 3360만~3390만원 수준의 합리적인 가격대로 선보일 예정이다.
더욱 경제적인 구매를 원하는 고객들은 내비게이션을 제외하는 '마이너스 옵션'을 선택해 80만원 가량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특히 기아차는 이번 '올 뉴 K7'에 3.0 가솔린 모델을 운영하지 않는 대신 3.3 가솔린 모델의 가격 문턱을 낮춰, 동급 3.0 가솔린 모델과 비교해 적은 부담의 합리적인 가격대로 선보였다.
3.3 가솔린 모델은 △국산 최초 '전륜 8단 자동변속기' 탑재 △람다Ⅱ 개선 엔진 △18인치 알로이 휠 △운전자세 메모리 시스템 △휴대폰 무선 충전 시스템 등 최고 사양을 기본화 했음에도 불구하고 3480만~3940만원으로 책정됐다. 3.0 LPi 모델은 2640만~3110만원이다.(렌터카 기준)
기아차 관계자는 "'올 뉴 K7'은 프리미엄 상품성을 구현하고 최대한 많은 고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품 기획부터 개발, 출시 준비 단계까지 온 힘을 다하고 있는 신차"라며 "앞으로 준대형 세단 시장을 압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 전자연구동에 위치한 반무향실에서 연구원들이 올 뉴 K7에 탑재된 KRELL 사운드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