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우정이네’ 사업, 총선 앞두고 여야 눈치싸움 새 불씨

전국 네트워크 가진 새 조직…“주민센터 역할 축소로 연결?”<br />
야당 “정부, 선거 등 정치적 이해 떠나 뚝심있는 정책 펼쳐야”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1-11 06:00:14

(서울=포커스뉴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우정사업본부가 전국 3500여개 우체국을 생활밀착형 주민쉼터로 변신시킨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서울시 등 야당 정치인이 단체장으로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매서운 눈초리를 받고 있다.

총선이 10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 시범사업에 지역주민의 기대와 관심이 한껏 부풀어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오는 17일 오후 4시 전국 최초로 서울 혜화동우체국이 ‘신개념 우체국’으로 준공돼 새롭게 문을 연다.

우정사업본부는 가칭 ‘우정이네’로 불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우편업무만 취급하던 우체국을 지역주민 쉼터, 문화‧스포츠 공간으로 환골탈태시켜 창조경제 스타트업 근거지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카페와 영화가 있는 문화공간, 생활스포츠가 함께하는 체육공간, 호텔 등 휴식공간 등으로 변화된다.

전국에 위치한 3500여개 우체국의 리모델링이 완성되면 전국적 네트워크도 함께 형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수도권의 한 구청 공무원 관계자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센터는 주민 편의와 복리증진, 지역 공동체 형성을 위한 중추(hub)역할을 해오고 있다”면서 “전국적 네트워크를 가진 새로운 시설이 도입되면 기존 주민센터 등의 역할이 나눠지거나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총선이 채 100일을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되는 '우정이네' 사업에 정치적 이해관계가 깔려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개념 우체국이 전국적으로 촘촘하게 구성되는 와중인 2017년의 경우 대통령선거마저 자리잡고 있어 야당 정치인이 단체장으로 있는 기존 구청‧주민센터의 역할이 축소되면 자연스럽게 유권자의 표심도 이동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원순 시장이 재임중인 서울특별시에서 시범사업이 우선적으로 진행되면서 그 의미와 파급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한 공무원도 “야당 소속 시장이 재임중인 서울시에서 총선을 코앞에 두고 진행되는 미래부의 새 정책을 두고 다양한 정치적 해석이 나오고 있다”면서 “주민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물밑 작업이 아니냐는 전망도 그 중 한가지”라고 말했다.

미래부는 특히 신개념 우체국 사업에 대해 "임대나 개축이 사실상 어려운, 오래되고 낡은 우체국 건물을 대상으로 민간의 자본과 창의력을 활용하여 세련된 문화공간으로 개선해 대국민 서비스를 높이고 '창조경제 및 정부3.0'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신개념 우체국 사업이 제 궤도에 오르면 '창조경제'를 출범 직후부터 내세워온 박근혜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최대의 치적으로 인정받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야당 관계자는 이에 대해 “선거를 앞두고 진행되는 새 사업은 보여주기 식인 경우가 종종 있다”면서 “정치적 실익을 떠나 국민 편의를 위해 뚝심있는 정책을 정부가 펼치길 바란다”고 말했다.서울 5개 시범 신개념 우체국 '우정이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