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협상 폐기" 대학 교수·학생 한목소리

대학 교수들 "한일 위안부 합의는 외교적 권리 포기"<br />
외대·이대 이어 고대 총학생회도 반대 성명 발표…파장 확산될 듯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1-05 22:04:00

△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반대

(서울=포커스뉴스) 최근 대학가를 중심으로 지난달 28일 발표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4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연구해 온 국내 교수들로 구성된 '일본군 위안부 연구회 설립 추진모임'은 지난달 28일 발표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폐기해야한다며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성명에는 정진성 서울대 교수, 양현아 서울대 교수, 이나영 중앙대 교수, 이신철 성균관대 교수, 이재승 건국대 교수, 김창록 경북대 교수, 조시현 전 건국대 교수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

추진모임은 성명에서 "수많은 여성들을 강제로 성노예로 만든 일본이 국가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 위안부 문제의 핵심"이라며 "이번 합의는 한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외교적 보호권을 포기한 것이나 다름 없는 명백한 외교적 실책으로 파기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합의는 위안부 피해자와 전 세계 지지단체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돌렸다"고 강하게 규탄했다.

이들은 일본이 위안부 피해자를 위해 10억엔을 출연하기로 한 것을 두고 "일본이 '배상금이 아니다'라고 단정한 만큼 과거 대다수 한국인 피해자들의 거부해 실패로 끝났던 국민기금 방식과 달라진 것이 없다"며 "이를 20년이 지난 지금 다시 받아들이라고 하는 것은 당치 않은 폭력이며 피해자들에게 또 다른 아픔을 더하는 일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대학 교수들뿐만 아니라 학생들까지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에 대한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지난 4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총학생회와 이화여자대학교 총학생회가 성명을 발표한데 이어 5일에는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 총학생회 측은 이번 한일 협상을 규탄하는 시국선언에 동참해 줄 것을 다른 대학 총학생회들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파장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고려대 총학생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지난달 28일 이뤄졌던 기만적인 외교 협상안을 절대 인정할 수 없다"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연대의 의지를 결코 꺾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위헌 소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를 졸속으로 매듭지려 한 정부의 태도는 비판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한국외대 총학생회는 지난 4일 오전 11시 외대 본교 본관 앞에서 한일 일본군위안부협상 규탄 및 시국선언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외대 총학생회는 성명을 통해 "한일 정부간 일본군 위안부 합의 결과를 폐기해야 한다"며 "10억엔에 면죄부를 파는 것은 우리나라의 외교적 역사적 과오가 될 뿐"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당연한 사안"이라며 "당사자들과의 논의 없이 결론을 도출했다는 것만 보더라도 이번 합의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화여대 총학생회 역시 4일 오후 1시 서울 서대문구 이대역 인근 '대학생이 세운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시국선언을 진행했다.

이대 총학생회는 시국선언문을 통해 "한일 위안부 문제 해결 합의가 날치기로 통과돼 그간의 피해자들과 국제사회의 노력이 물거품이 됐다"며 "법적배상도, 공식 사죄도 남지 않은 이번 협상은 한일 정부의 쇼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한일 외교장관 회담과 소녀상 이전 문제가 되고 있는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 12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끝나고 평화나비네트워크 회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2015.12.30 허란 기자 4일 오후 1시 서울 서대문구 이대역 인근 '대학생이 세운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이화여자대학교 총학생회가 시국선언을 진행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