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운명 걸린 3人…손학규·박영선·김부겸
'고사' 손학규 전 대표…칩거에도 '대선후보 자질평가' 3위<br />
'침묵' 박영선 전 원내대표…김한길 이어 탈당 시 '둑' 무너져<br />
'잔류' 김부겸 전 의원…공동선대위장 고사, 지역에 '올인'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6-01-04 17:46:51
(서울=포커스뉴스) 20대 총선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총선은 '대권으로 가는 징검다리'다. 그러나 현재 문 대표가 발 딛고 있는 '정치 생태계'는 그 어느 때보다 엄혹하다. 분당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 대표는 중도파이면서도 영향력이 막강한 손학규 전 대표와 박영선 전 원내대표, 김부겸 전 의원 등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고사'하는 손학규 전 대표…칩거에도 '대선후보 자질평가' 3위
손학규 전 대표는 1일 정치인이 아닌 지인들과 함께 강진 만덕산 해월루에서 첫 해를 맞이했다. 이날도 현실정치에 대해서는 일절 함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2014년 7월 31일 "저녁이 있는 삶을 돌려드린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송구스럽다"며 정계 은퇴했다. '저녁이 있는 삶'은 그의 대선 경선 슬로건이다.
당시 손 전 대표는 "저의 정계은퇴를 계기로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의 당원과 의원들이 새로운 각오로 혁신하고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손 전 대표는 그날 이후 지금까지 현실정치와 거리를 둔 채 전남 강진군 백련사 인근의 흙집에 칩거하고 있다.
작년 12월 18일 밤에는 지근거리까지 찾아온 이종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방문을 사양하기도 했다. 이날 낮에는 손 전 대표가 안철수 신당 합류 제안을 공식 거절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같은 달 30일 열린 절친, 고(故) 김근태 전 상임고문의 4주기 추모행사도 문재인·안철수와의 회동여부가 부각되자 불참했다.
이처럼 철저히 현실정치와 선을 긋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손 전 대표는 정계 안팎에서 여전히 잠룡으로 평가되고 있다.
3일 발표된 한 여론조사 중 대선후보 자질평가 부분에서 반기문 UN사무총장, 박원순 서울시장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문 대표는 4일, 2016년 처음으로 열린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저녁이 있는 삶'을 언급해 '손 전 대표의 공동 선대위원장 추대설' 등 다양한 해석을 낳기도 했다.
문 대표는 이날 "국민들을 위해 제대로 된 일자리를 만들고, '저녁이 있는 삶'을 위해 정부여당의 독주를 막아야 한다. 더 젊고 새로운 당이 돼 승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문 대표는 작년 12월 18일 총선 대비 당직 인사에서 이른바 '손학규계'로 분류되는 김성곤 백재현 홍익표 의원을 요직에 전면배치하기도 했다.
손 전 대표가 20대 총선에서 문 대표의 손을 잡아 줄지, 한걸음 떨어져 상대적으로 전력을 유지한 채 총선 이후 재편될 야권의 구원투수로 나설지, 아니면 칩거를 계속할 지 그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침묵'하는 박영선 전 원내대표…탈당 '마지노선' 역할?
문재인 대표에게 수도권 출신 3선 의원으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박영선 전 원내대표의 지지는 더없이 절실하다.
그러나 박 전 원내대표는 김한길 전 공동대표의 탈당에 가타부타 공식 언급을 내놓지 않고 '침묵'을 지키고 있다.
박 전 원내대표는 더민주 중도파 모임인 '통합행동'의 멤버로서 그동안 문재인 대표에게 '알 밖으로 나오기 위한 여러 가지 창조의 파괴' 등 날카로운 비판을 날려왔다.
박 전 원내대표는 문 대표에게 "정말 겸허한 마음으로 모든 것을, 마음을 비우는 자세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박 전 원내대표와 함께 '통합행동'의 멤버이자 호남의 맹주인 박지원 의원은 4일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박영선 의원이 당을 위해서나 야권 승리를 위해서, 정권 교체를 위해서 상당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박지원 의원은 "(박영선 전 원내대표가) 그렇게 쉽게 (탈당) 결단을 내리진 않을 것 같다는 기분을 받았다"고 전망했다.
한편 탈당바람이 상대적으로 없는 전북 지역에서는 박 전 원내대표가 '분당의 마지노선'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원내대표가 탈당하면 현재 더민주·안철수 신당 힘의 균형이 급속도로 기울어질 수밖에 없다고 결국 탈당을 해야 한다는 것.
비록 수적으로는 더민주 소속 의원이 많을 지라도 중도성향의 박 전 원내대표가 빠지게 되면 결국 친노 정당으로 전락해 국민의 외면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더민주 내부에서 서서히 증폭되고 있다.
◆ '잔류'하는 김부겸 전 의원…국민들 손에 의해서라도 통합될 것
김부겸 전 의원은 더민주의 대표적 중도인사다. 문재인 대표는 최근 김 전 의원에게 당 내분 사태를 수습할 조기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김 전 의원은 작년 12월 29일 문 대표의 전화를 통한 요청도, 1일에는 대구를 찾아온 유인태 우상호 의원 등의 요청도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와 맞붙을 대구 수성갑 지역구에 '올인'하기 위해서다.
그러면서도 김부겸 전 의원은 탈당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 전 의원은작년 12월 16일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당이 이렇게 어려우니까 어떻게든 수습을 해야 한다는 당위감이 더 옳게 다가온다. 자칫하다가 제 스스로가 주장해왔던 것 자체를 짓밟을 수 있다"면서 당 잔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며칠 뒤인 30일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 양쪽 모두를 비판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당시 김 전 의원은 "야권 주도권 싸움 과정에서 서로 간의 감정을 자극하고, 범야권 지지자들을 서로 갈라놓고 증오를 부추기는 발언을 지도자라면 자제해 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더민주) 지도부도 잘했다는 건 아니지만, 안 의원도 신당을 창당하면서 자신의 비전을 가지고 국민을 설득해야지, 자꾸 옛날에 계시던 당을 그렇게 폄하하거나 하는 것은 그만 했으면 좋겠다"고 비판했다.
또한 문 대표가 ‘마이웨이'식 행보를 이어가는 것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문 대표가 "제 거취는 제가 정한다. 더 이상 제 거취를 둘러싼 논란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발언한 것을 정부의 '불가역적' 위안부 문제 합의와 빗대면서 "상황이 정리가 돼가면서 저절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지 지금부터는 앞으로 일체 거론하지 말라고 해서 안 하고 이런 건 아니지 않느냐"고 정면으로 비판했다.
김 전 의원은 "안 의원이 탈당을 해서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하니까 지금은 서로 뭐 기세싸움 아니겠나"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러나 결국 한 2월쯤 되면 이번에 뛰어야 할 후보자들 입장에서는 정말 답답할 것"이라면서 "그렇게 절박해지면 당 대표의 정치적 의지와 상관없이 야권 지지자들 손에 의해, 또 정치적 균형이 무너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국민들 손에 의해서라도 뭔가 변화가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전 의원은 현재 대구의 정치1번지 수성갑에서 김문수 전 경기지사와의 총선 대결을 준비 중이다. 여당의 아성인 이곳의 신년 여론조사에서 김 전 의원은 여당 예비후보인 김문수 전 지사를 앞섰다. 정당지지도와는 정반대의 결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전 의원은 "탈당이 거론되는 것 자체가 대구 선거에도 도움이 안된다. 분열이 고착화되면서 당이 초라해지는 상황이 정말 답답하다"고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손학규 더민주당 전 대표는 2014년 7월 31일 "저녁이 있는 삶을 돌려드린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송구스럽다"며 정계 은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일 발표된 한국경제신문·한국리서치의 대선후보 자질평가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반기문, 박원순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수도권 출신 3선 의원으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박영선 전 원내대표의 지지는 문재인 대표나 안철수 의원에게 더없이 절실하다. 그러나 박 전 대표는 여전히 '침묵'을 지키고 있다. 대표적 중도인사인 김부겸 전 의원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탈당 가능성을 일축했다. 또한 지난 연말인 12월 30일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 양쪽 모두를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