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강진 여파 네팔서부·인도북부 지진 위험 커져"
전문가 "지하에 형성된 응력 남아있다"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8-07 18:08:22
△ 지난 4월 25일 네팔 지진으로 무너진 카트만두 시내 건물(AFP=연합뉴스)
"7.8 강진 여파 네팔서부·인도북부 지진 위험 커져"
전문가 "지하에 형성된 응력 남아있다"
(뉴델리=연합뉴스) 나확진 특파원 = 지난 4월 규모 7.8의 강진이 네팔 수도 카트만두 주변을 강타한 이후 네팔 서부와 인도 북부의 지진 위험이 커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와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 함께 재직하는 장-필립 아부아 교수 등은 사이언스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6일(현지시간) 발표한 두 편의 논문에서 지난 4월 네팔 지진은 지하에 형성된 응력(應力·외부 힘을 받아 원래대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모두 쏟아내지 않았으며 그 힘이 서쪽으로 이동했다고 밝혔다.
아부아 교수는 카트만두 인근 주(主) 히말라야 단층선에서 두 개의 판이 충돌하면서 오랜 기간 응력이 형성됐다며 만약 이 힘이 모두 분출됐으며 지진 규모가 훨씬 컸을 것이라고 영국 BBC 방송에 설명했다.
그는 또 4월 지진 이후 응력이 형성되는 지대가 네팔 포카라 서쪽부터 인도 델리 북쪽까지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언제 다시 지진이 발생할지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주민들을 겁먹게 하려는 뜻은 아니다"며 "주민들이 사는 땅이 처한 상황을 알고 큰 지진을 견딜 수 있는 건물을 짓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난 4월 지진은 지진파의 진동수가 낮아 지진 규모에 비해서는 사망자가 적게 났다고 분석했다.
진동수가 높을수록 저층 건물의 피해가 크고 진동수가 낮으면 고층 건물에 큰 피해를 주는 데 지난 지진은 4∼5초에 한 번 정도 진동이 있었을 정도로 진동수가 낮았기에 상대적으로 네팔에 많은 저층 건물의 피해가 적었다는 것이다.
카트만두 시내의 많은 취약 건물이 무너지지 않은 가운데 62m 높이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다라하라(빔센) 타워가 무너진 것도 이 때문으로 추정된다.
앞서 네팔에서는 4월 25일 규모 7.8의 지진과 다음 달 12일 규모 7.3의 지진으로 8천800명 이상이 사망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