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과거 직시해야 동북아 문제 해결 가능"

고려대서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 동아시아공동체포럼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8-03 11:49:26

△ 다나카 히토시(田中均) 국제전략연구소 이사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정부 과거 직시해야 동북아 문제 해결 가능"

고려대서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 동아시아공동체포럼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지난 70년간 커다란 변화를 겪은 동북아시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단 일본 정부가 과거를 직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을 지낸 다나카 히토시(田中均) 국제전략연구소 이사장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가 중국 칭화대 당대국제관계연구원, 일본 도쿄대 현대한국연구센터, 동북아역사재단과 함께 3일 서울 고려대 백주년기념관에서 '70년의 분단과 동북아 100년의 미래'를 주제로 개최한 제5회 동아시아공동체포럼 라운드테이블에서 이같이 말했다.

다나카 이사장은 "동북아에서 힘의 균형이 크게 바뀌었고 국가주의와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가 대두되고 있다"고 진단한 뒤 "일본 정부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인해 아시아 국가가 큰 피해를 입었고 이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싶다는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해야 한국, 중국과 무너진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처럼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기보다는 한반도, 동북아시아, 동아시아, 아시아태평양 등 4개의 권역을 나누고 각각의 틀에 맞는 논의 체제를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젠(陳健) 전 중국 외교차관보도 "아베 총리는 임기 내에 헌법을 개정해 일본이 안보 분야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사명감에 사로잡혀 있다"며 "미국의 비호 아래 군사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은 잘못된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삼국 사이의 안보 대화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한 고려대 교수(전 외교부 차관)는 동아시아 갈등의 해법으로 소다자주의를 내세웠다

그는 "동맹과 다자 안보 협력 모두 강대국 위주의 지역정치 흐름이나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므로 한·미·일, 한·중·일, 한·미·중 등 소다자주의를 활발히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