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미일중러' ARF 총출동…북핵·북중·중일관계 흐름 촉각

6자 외교수장들, '이란핵합의' 이후 처음으로 한무대에
정부, 다양한 접촉추진…북핵·북중·중일 흐름에 주목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8-02 16:07:28

△ 윤병세 외교장관

'남북+미일중러' ARF 총출동…북핵·북중·중일관계 흐름 촉각

6자 외교수장들, '이란핵합의' 이후 처음으로 한무대에

정부, 다양한 접촉추진…북핵·북중·중일 흐름에 주목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오는 5일부터 이틀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 관련 회의를 계기로 북핵을 비롯한 한반도 주변정세 흐름에 새로운 모멘텀이 만들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일 한·아세안 회의에 이어 같은 날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6일에는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 EAS(동아시아정상회의) 외교장관회의, ARF(아세안지역안보포럼) 외교장관회의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열린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북한이 유일하게 회원국으로 참석하는 ARF 외교장관회의다.

ARF 등 아세안 관련 회의를 계기로 남북(윤병세 외교부 장관·리수용 외무상)을 비롯한 미국(존 케리 국무장관), 일본(기시다 후미오 외상), 중국(왕이 외교부장), 러시아(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 등 이른바 북핵 6자회담 당사국 외교수장들이 총출동할 예정인 것으로 2일 전해졌다.

이들은 ARF 외교장관회의 등 공식 다자회의에서의 지역 정세와 현안을 논의하는 것 외에도 전략적 이해에 따라 양자 또는 소다자 접촉을 분주히 이어갈 전망이다.

이란 핵협상 타결 이후 북핵 문제와 남중국해 문제 등이 핵심 화두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남북, 한일, 북중, 중일, 북일, 중러, 한미일 등 다양한 형태의 접촉이 주목된다. 우리 정부 역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은 열어 놓은 채 나머지 국가들과의 다양한 접촉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양자 또는 소다자 접촉을 통한 북핵, 남북관계, 북중관계, 중일관계 등의 미묘한 흐름 변화가 우리 정부의 외교전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우선 북핵 문제는 이란 핵협상 타결 이후 6자회담 당사국 외교수장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인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한미일을 중심으로, 또 한미일이 중국과의 양자접촉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 모멘텀 마련과 10월10일 노동당 창건일 계기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비롯한 북한의 전략적 도발 억제 등을 위한 대북 공조강화에 주력할 전망이다.

이를 바탕으로 ARF 외교장관회의 결과물인 의장성명에서 북핵 관련 내용을 반영하는데도 주력할 방침이다.

물론 남북 간 접촉이 가장 큰 관심을 끌지만 최근 남북관계 경색 국면에 비춰볼 때 지난해 미얀마 네피도에서 열린 ARF 외교장관회의 때와 마찬가지로 조우 이상의 의미 있는 만남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한미일은 북핵과 관련해서 북중간 접촉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최근 소원했던 북중이 관계개선 모색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에 북중간 접촉시 이를 계기로 북핵 흐름에 새로운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에 북중간 대화시 긍정적 분위기가 김정은 제1위원장을 초청한 9월3일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까지 이어질지도 관심거리다.

그러나 한미일의 대북공조와 북중간 접촉시에도 북핵의 새로운 모멘텀 마련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도 적지 않다.

북한은 이란핵 협상 타결 이후에도 미국의 적대시정책을 탓하며 비핵화 대화에 관심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고 있으며, 특히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장거리 미사일 발사대를 세운 정황이 포착되는 등 노동당 창건일 전후 전략적 도발 움직임도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한일간 만남과 맞물려 중일간 움직임도 우리로서는 신경이 쓰이는 대목이다.

윤병세 장관과 기시다 외상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앞둔 지난 6월21일 도쿄에서의 회담 이후 쿠알라룸푸르에서도 만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 종전 70주년 계기 8월 아베 총리의 담화 등 한일관계 개선과 한중일 정상회담 연내 개최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전망이다.

문제는 일본이 최근 중일 정상회담 가능성 등을 타진하며 중국과 관계개선 노력에 주력하면서 중일 관계에 가속도가 붙을 경우 우리 정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 정부는 지난 3월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조기 개최를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한 한중일 정상회담 연내 개최를 균형추로 활용하면서, 이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타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필리핀 베트남 등 아세안 일부 국가와 미국, 일본 대(對) 중국 간 벌이는 남중국해 갈등도 이번 아세안 관련 회의의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인 가운데, 우리 정부가 미중 사이에서 어떤 스탠스를 취할지도 주목받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