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러시아·중국에 국군포로 관련자료 적극 요구해야"(종합)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위원 토론회서 주장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29 13:44:26
"정부, 러시아·중국에 국군포로 관련자료 적극 요구해야"(종합)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위원 토론회서 주장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6·25전쟁 때 납북된 국군포로 등이 시베리아로 이송됐다는 설에 대해 중국·러시아에 관련 자료공개와 해명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2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바른사회시민회의 주최로 열린 '광복 70주년 기념 연속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주장했다.
조 연구위원은 발제를 통해 "이미 1993년 국내 언론이 미 국방부 내부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전쟁 때 공산군에 붙잡힌 국군포로 수천 명이 비밀리에 구소련으로 끌려갔다'고 보도한 바 있으며, 시베리아로 이송된 국군포로 규모는 1만2천여명으로 추산된 바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전쟁 기간 중국으로도 최소한 국군포로 3만7천532명이 끌려간 것으로 알려졌다"며 "우리 정부가 러시아·중국 정부에 미송환된 국군포로의 규모와 생사 등 관련자료 공개를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연구위원은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62년이 지났지만, 학계에서 5만∼6만명으로 추산하는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는 미해결 상태"라며 "고립적인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호소는 한계가 있는 만큼, 6·25전쟁 참전으로 실종자 문제가 남아있는 우방과 공동협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참여한 제성호 중앙대 교수는 "국군포로·전시납북자의 생사 확인과 송환은 자국민 보호 및 국가의 도리 이행차원에서 우선하여 협의·해결돼야 할 것"이라며 "납북자들의 인권상황을 개선하려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최은석 통일교육원 교수도 토론에서 "민족분단과 전쟁의 희생자인 전시납북자도 엄연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국가가 보호해야 할 국민"이라며 "적십자회담을 통한 생사확인, 상봉, 고향방문, 송환 등 단계별 접근을 시도하며 기존 이산가족 문제해결의 틀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