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유충 천적 '잔물땡땡이'로 모기 퇴치한다

환경산업기술원, 친환경 퇴치 기술 개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28 12:00:08

모기 유충 천적 '잔물땡땡이'로 모기 퇴치한다

환경산업기술원, 친환경 퇴치 기술 개발



(서울=연합뉴스) 임주영 기자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모기 유충의 천적을 활용해 모기를 친환경적으로 퇴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술은 대량 사육 장비로 확보한 잔물땡땡이 유충을 모기가 대량 발생하는 지역에 방류해 모기 유충을 잡아먹도록 하는 방법이다.

잔물땡땡이는 딱정벌레목 물땡땡이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주로 연못, 습지에 살며 물속에서 알, 유충(애벌레), 번데기, 성충의 성장 과정을 거친다.

잔물땡땡이는 약 25일의 애벌레 기간을 거친다. 두 번 탈피한 '3령' 단계의 유충은 크기가 4∼4.5㎝로, 하루에 900마리 이상의 모기 유충을 잡아먹을 수 있다.

기술원 연구팀은 2013년 말 서울시 영등포구청과 협약을 맺고 영등포구 당산공원의 인공 연못에서 실제로 잔물땡땡이를 방류했다.

그 결과, 모기 개체 수가 620마리에서 100마리 이하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기술원은 설명했다.

김용주 기술원장은 "친환경 모기방제 기술을 국내에 보급해 활용하고, 동남아시아, 중부 아프리카 등 해외에도 보급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