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산업협력 '사이언스파크'로 업그레이드하자"
산업연구원 보고서 "생산→기술중심 협력으로 전환해야"
독일 '아들러스호프 사이언스파크' 벤치마킹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19 08:58:08
"남북 산업협력 '사이언스파크'로 업그레이드하자"
산업연구원 보고서 "생산→기술중심 협력으로 전환해야"
독일 '아들러스호프 사이언스파크' 벤치마킹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통일에 대비해 개성공단을 위주로 한 생산 중심의 남북간 산업협력을 기술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는 남북 공동 사이언스파크(science park·과학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정홍 산업연구원(KIET) 연구위원은 19일 '통일 직후 독일의 사이언스파크 설립 사례 및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현재 남북 산업협력에서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개성공단은 고비용·고위험으로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새로운 남북 산업협력을 고려할 때 생산 중심의 협력은 다소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기술 중심의 협력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북한에 사이언스파크를 조성할 경우 개성공단에 비해 저비용·저위험으로 실질적인 남북한 산업협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이언스파크는 통일 이후의 효용은 물론 당장 경색된 남북 관계를 진전시키는 데도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남북한은 강점이 있는 기술 분야가 서로 달라 기술협력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위원은 "북한은 대학이나 연구소 기술은 강하지만 기업 기술이 약하기 때문에 남북한이 협력해 사이언스파크를 조성할 경우 북한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산업기술 면에서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이언스파크는 대학이나 연구소가 중심이 되는 산학연 집적지로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한 첨단기술을 지역산업에 이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이언스시티(과학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 1950년대부터 기술 혁신과 상업화를 촉진하는 수단으로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조성되기 시작했다.
남북한이 벤치마킹해야 할 성공사례로는 독일 '아들러스호프 사이언스파크'를 제시했다.
독일 통일 직후인 1991년 베를린의 구동독 지역에 조성된 아들러스호프는 실직 위기에 처했던 5천600명의 구동독의 과학기술자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했으며, 과학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25년간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해 왔다.
남북 공동 사이언스파크 건설 방안으로는, 우선 시범사업으로 우수한 공학 기반을 갖춘 북한의 대학·연구소 인근 부지에 남한의 산업계 전문가와 장비를 투입해 1개의 사이언스파크를 추진하고, 성과가 좋을 경우 남한 지역에도 확대 설립할 것을 김 연구위원은 제안했다.
이를 위해서는 남북한이 협력 가능한 산업·기술 분야를 사전에 조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설립된 사이언스파크는 기술창업 지원, 공동 기술개발 프로젝트 수행, 국내외 주요 기업의 기술투자 유치 등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김 연구위원은 "사이언스파크는 고급인력의 교류를 통해 통일에 대비한 남북간 기술협력의 거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여건이 허락돼 북한에 이어 휴전선 접경지역에도 사이언스파크를 조성한다면 남북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