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교육청 청렴도 높이기 '안간힘'
익명 신고시스템 운영·반부패시스템연구소와 협약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19 07:55:00
△ 2015년 3월 2일 울산시 중구에서 촬영한 울산시교육청 전경
울산시교육청 청렴도 높이기 '안간힘'
익명 신고시스템 운영·반부패시스템연구소와 협약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시교육청이 청렴도를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불거진 학교시설단 비리 여파에서 벗어나고자 사활을 걸었다.
울산교육청은 '공직비리 익명 신고시스템'을 도입한다고 19일 밝혔다.
시교육청 홈페이지에 '공직비리 익명 신고센터' 배너를 만들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QR코드를 제공해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PC나 스마트폰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시스템은 신고자의 IP주소와 접속 시간 등을 제거하는 기술이 적용돼 신분이 보장된다고 시교육청은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앞서 지난 9일 서울시립대 반부패시스템연구소와 반부패·청렴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서울시립대 반부패시스템연구소는 국내 유일의 반부패 연구 전문기관으로 전국 시·도교육청 가운데 이 연구소와 업무협약을 맺은 곳은 울산뿐이다.
지난 3월부터는 새로 마련한 '감사결과 지적사항 처분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이 기준을 통해 각종 공사 시 1천만원 이상 공사비 과대 계상은 최대 중징계, 근무 불성실 등에도 최고 중징계 등을 내릴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관련 법이나 교육부 지침에 따라 처벌, 처분하던 것을 넘어 강화된 자체 기준을 적용한 것이다.
시교육청이 이같이 청렴을 강조하는 것은 부패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지난해 교육청 공무원들이 학교 신설·자재 납품 업자로부터 금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청렴도가 바닥을 쳤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014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에서 울산교육청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13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도 5위에서 8단계 하락한 것이었다.
특히, 외부 업체의 평가와 부패사건 발생 현황이 점수로 반영된 '외부청렴도'에서는 일 년 사이 1위에서 9위로 추락했고, 직원의 부패 관련 의식이 반영된 내부청렴도는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교육부의 2015년 교육청 평가에서는 우수 교육청에 포함되지 못했는데 울산교육청은 청렴도 점수가 낮았기 때문으로 자체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김복만 교육감은 간부 회의나 언론 인터뷰 등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로 수차례 청렴도 상승을 꼽기도 했다.
시교육청으로선 올해 청렴도 평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만 하는 상황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당장 이달 말부터 국민권익위가 올해 청렴도 평가에 들어가기 때문에 개선된 모습을 보여 주기 위해 모든 역량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