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 논설위원 17명 나눔의 집 방문…군위안부 만나(종합)
한국언론 관심에 '부담'…할머니들 "일본은 우리 죽기만 기다려"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16 18:18:26
△ 일본 언론 논설위원 17명 나눔의 집 방문…군위안부 만나
(광주=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생활하는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이 16일 일본 언론인들로 북적였다.
홋카이도신문, 이와테일보, 시나모마이니치신문 등 일본의 지방신문 15곳과 교도통신 등 16개 언론사 논설위원 17명이 나눔의 집을 찾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만났다.
이들은 한국 언론의 관심이 부담스럽다며 위안부 영상을 시청하는 모습과 할머니들과 간담회 자리를 각각 2∼3분 정도 공개하고 예정된 일정을 진행했다.
일본 언론 논설위원 17명 나눔의 집 방문…군위안부 만나(종합)
한국언론 관심에 '부담'…할머니들 "일본은 우리 죽기만 기다려"
(광주=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생활하는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이 16일 일본 언론인들로 북적거렸다.
홋카이도신문, 이와테일보, 시나모마이니치신문 등 일본의 지방신문 15곳과 교도통신 등 16개 언론사 논설위원 17명이 나눔의 집을 찾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만났다.
일본 언론인 방문단은 다음 달 15일 광복 70주년과 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앞두고 위안부 문제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나눔의 집을 찾았다.
방문단을 이끌고 이곳을 찾은 모리 야수히로 교도통신 논설부위원장은 "종전(일본)과 광복(한국) 70년을 바라보는 양국의 역사적 인식이 다르다. 할머니들을 만나 역사적 사실관계를 객관적으로 살펴보려고 이곳을 찾았다"고 방문 배경을 설명했다.
일본 언론인들이 단체로 나눔의 집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후 2시 30분께 도착한 방문단은 한국 취재진을 보고 적잖이 당황했다. 이 때문에 일정이 미뤄지고 일정 취소를 검토하기도 했다.
조용한 분위기에서 할머니들을 만나 증언을 들으려고 찾아왔는데 오히려 한국 언론의 취재 대상이 된다는 점 때문에 부담스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고심 끝에 위안부 영상을 시청하는 모습과 할머니들과 간담회 자리를 각각 2∼3분 정도 언론에 공개하고 예정된 일정을 진행했다.
영상자료실에서 피해 할머니 증언과 활동상을 담은 30분짜리 영상을 시청하고 생활관에서 할머니들을 만난 일본 언론인들은 "어떻게 생활하는지 알고 싶어 찾아왔다"고 방문 목적을 밝혔다.
할머니들은 한결같이 "아픈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일본 정부가 공식 사죄하고 피해자들에게 배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옥선(94) 할머니는 "일본 정부는 우리가 죽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빨리 사죄와 배상을 해야 한다"고 했고, 강일출(87) 할머니는 "강제로 끌려가 인간으로서 말 못할 고통을 겪었다. 가슴 속에서는 피눈물이 흐른다"고 심경을 전했다.
일본 언론인들은 이어 1995년 일본에서 민간 모금을 기반으로 발족해 위로금 지급을 추진한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에 대한 할머니들의 생각을 물었다.
강일출 할머니는 "우리는 국가 배상을 원한다. 그런 말을 왜 하느냐"고 되물었고, 유희남(87) 할머니는 "(일본 정부가) 우회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고 나눔의 집 측은 전했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아시아여성기금에 대해 "다수의 국내 피해자들이 배상 책임을 피하려는 수단이라고 비난하며 수령을 거부했다"며 "피해자들에게 혼란을 준 가해자 관점의 기금이었고 진정성도 없었다"고 일본 방문단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참석한 일본 방문단은 할머니들의 말을 한마디라도 놓치지 않으려고 저마다 꼼꼼히 메모했다.
안 소장은 "일본 언론에 취조당하는 것같아 만나기 싫다는 할머니들을 설득해 어렵게 간담회 일정을 잡아줬는데 한국 언론의 취재 대상이 되는 것은 부담스럽다니 아쉽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