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기계공고 교장 공모가 드러낸 전북교육청의 민낯
불공정 논란에도 규정 타령만 하다 결국 '백기 투항'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13 18:30:49
△ 전북도교육청 청사
(전주=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의 전북도교육청 청사. 2014.12.8 <자료사진>
kan@yna.co.kr군산기계공고 교장 공모가 드러낸 전북교육청의 민낯
불공정 논란에도 규정 타령만 하다 결국 '백기 투항'
(전주·군산=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 마이스터고인 전북 군산기계공고의 교장 공모가 전북도교육청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낸 채 결국 중단됐다.
군산기계공고의 예산을 좌지우지해오던 전북도교육청 소속 장학사는 마이스터고에서 탈락할 위기에 처해 있는 이 학교와 학생의 고통은 외면한 채 자리 욕심을 거두지 않았고, 중심을 잡아줘야 할 도교육감은 교장 공모제의 문제가 계속 불거졌음에도 '규정에 없다'며 강 건너 불구경하듯 했다.
군산기계공고 교장 공모를 둘러싼 논란은 이달 초 불거졌다.
군산기계공고를 직접적으로 관리·감독하는 전북도교육청의 A 장학사가 교장에 지원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면서다.
이 장학사는 군산기계공고에 사업 예산을 배분해주는 전북도교육청의 직업교육팀 소속이다.
군산지역 시민단체들이 '학교에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 장학사가 공모에 나선 것은 심판이 선수로 뛰는 격'이라며 지원 철회를 요청한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더구나 도교육청은 교장 선정 과정의 공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군산교육지원청의 교육전문직은 지원할 수 없도록 규정했던 터다.
하지만 A 장학사는 군산교육지원청의 상급 기관인 전북도교육청의 장학사와 장학관은 지원에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은 점을 악용해 슬그머니 원서를 냈다.
3년 전 교장 공모에서도 똑같은 문제 제기가 있었으나 도교육청이 규정을 손질하지 않은 채 또다시 이번 교장 공모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군산기계공고의 직전 교장이 전북도교육청 소속 장학관이었다는 점도 논란을 키웠다.
당시 이 장학관은 7대 1이나 되는 경쟁률을 뚫고 교장에 선정됐다.
'도교육청 소속 장학관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는 평가가 나온 배경이었다.
예상대로 올해 공모에서도 A 장학사는 1위로 1차 심사를 통과했다.
시민단체들은 이 장학사가 교장이 되는 것 역시 '정해진 수순'으로 보았다.
산업체 현장의 인재를 구하려는 교장 공모제의 취지를 무시하고 교육 관료들이 잇따라 지원서를 낸 것도 비난을 자초했다.
현재 군산기계공고는 전국 22개 마이스터고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며 마이스터고에서 탈락할 위기에 처해 있어 장학관 출신인 직전 교장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는데 그의 부하 직원과 다름없는 장학사가 뒤를 잇겠다고 나선 것이기 때문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학생과 학교는 안중에도 없는 탐욕'이라고 비판했을 정도다.
이처럼 문제점들이 잇따라 드러나고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이어졌음에도 전북도교육청과 김승환 교육감은 요지부동이었다.
김 교육감은 더구나 3년 전 문제의 규정 때문에 홍역을 치렀을 때도 교육감직에 있었으나 '규정' 타령만 할 뿐 사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이번 파동에서 그가 금과옥조로 삼는다는 '학생이 행복한 교육'이라는 가치를 찾아볼 수 없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시민단체들은 도교육청이 진정으로 학생과 학교를 생각했다면 규정을 손질하고 다시 공모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군산기계공고 교장 공모가 위법성 논란 끝에 공모 절차가 중단되면서 김 교육감은 '결국 게도 구럭도 다 잃은' 모양새가 됐다"며 "도교육청과 김 교육감은 이번 파동을 통해 '전북교육의 최우선 가치는 학생'이라는 원칙을 다시 되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