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희토류 개발비리' 광물자원공사 압수수색(종합)
'암바토비 니켈광산' 경남기업 특혜 의혹도 수사 재개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07 15:03:15
검찰 '희토류 개발비리' 광물자원공사 압수수색(종합)
'암바토비 니켈광산' 경남기업 특혜 의혹도 수사 재개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자원개발 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는 7일 한국광물자원공사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10시 강원 원주시 광물자원공사 등 6∼7곳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국내외 각종 철광개발사업 관련 내부자료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김신종(65) 전 사장의 자택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검찰은 이명박 정부 시절 광물자원공사가 양양철광 재개발 사업을 추진한 경위와 의사결정 과정,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사업 당시 경남기업에 대한 특혜성 사업지분 인수 등 그동안 제기된 의혹을 확인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김 전 사장을 비롯한 공사 임직원들이 경제성 검토를 제대로 거치지 않은 채 투자하는 등 배임 혐의를 둘 수 있는지가 중점 수사대상이다.
검찰은 최근 수사에 착수한 양양철광 재개발 사업 관련 자료를 집중적으로 확보했다.
광물자원공사는 2010년 12월 한전산업개발 등과 함께 양양철광을 재개발하겠다며 특수목적법인(SPC)인 대한광물을 설립했다. 희토류가 매장돼 있다는 이유로 한전산업개발 등의 주가가 급등했으나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현재는 재개발이 중단된 상태다. 이 과정에서 투자업체 D사 지분을 인수해 거액의 시세차익을 올린 스포츠서울 김광래(52) 대표가 올해 초 구속기소됐다.
검찰은 지난달 24일 투자업체로부터 2억원대 금품을 챙긴 혐의(배임수재)로 한전산업개발 전 사업본부장 황모(63)씨를 구속하고 사업 전반으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황씨는 대한광물 초대 대표이사를 지냈다.
검찰은 광물자원공사가 애초 재개발의 경제성과 희토류 채굴 가능성이 떨어지는데도 무리하게 사업을 진행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대한광물 설립 직전인 2010년 11월 광물자원공사 이사회 회의록을 보면 희토류 품위가 세계적 희토류 광산의 5분의1 수준이라는 시료분석 결과가 보고됐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자살로 한동안 중단된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비리 수사도 재개됐다. 검찰은 지난 3월 광물자원공사로부터 이 사업과 관련한 자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 확보한 상태다.
광물자원공사는 2008년께 경남기업의 암바토비 니켈광산 투자비용 171억여원을 대납했다. 2010년 3월에는 투자금의 100%를 주고 경남기업의 사업 지분을 인수했다. 계약조건대로라면 경남기업은 투자금의 25%만 받고 지분을 반납해야 했다. 이 때문에 광물자원공사는 116억원의 손해를 봤다.
광물자원공사는 경남기업에 130억원을 대출해주기도 했다. 김 전 사장이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함께 이름을 올린 인연으로 성 전 회장에게 특혜를 베푼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은 광물자원공사 임직원들을 불러 두 사업 추진 과정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전반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김 전 사장은 혐의가 구체화하는대로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