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2040년까지 원전 비중 45∼55%까지 확대"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채택…원전 '늘리고', 화력 '줄이고'
코바초프스카 체코 산업부 에너지전략·국제협력국장 인터뷰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05 11:00:06

체코 "2040년까지 원전 비중 45∼55%까지 확대"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채택…원전 '늘리고', 화력 '줄이고'

코바초프스카 체코 산업부 에너지전략·국제협력국장 인터뷰



(프라하=연합뉴스) 이봉준 기자 = "현재 30% 수준인 원자력발전소 전력 생산 비중을 2040년 45∼55%선까지 끌어올려 에너지 자립을 이룰 계획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원전 이외 다른 대안이 없습니다"

지난달 26일 프라하 시내 체코 산업통상부(MIT)에서 만난 렌카 코바초프스카(여) 에너지전략·국제협력국장은 향후 에너지 자립 실현을 위해 원전 발전 비중을 2배 가까이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코바초프스카 국장은 "국가 에너지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성과 지속성, 그리고 경제성"이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국가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나라 안에서 확보해 사용하는 게 기본 목표"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체코는 정부는 지난 5월 28일 2040년까지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인 '국가에너지컨셉(SEC)'을 통과시켰다.

체코는 이 계획에 따라 앞으로 석탄 발전 비중을 축소하고,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특히 향후 수년 안에 원전 1∼2기 건설 공사를 추가로 발주하고, 기존 원전들의 수명 연장도 추진할 방침이다.

추가로 건설하는 원전은 기존의 듀코바니와 테멜린 원전 단지에 각각 1기씩 설치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다.

체코는 앞서 2009년 듀코바니 원전 수명 연장 작업에 착수해 2012년 국가 에너지전략(SES)을 채택하고 듀코바니 원전 수명을 20년 연장했다.

또 화력발전소 비중을 현재보다 약 3분의 2 가량 줄이고,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지원도 점차 축소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원을 줄이는 것은 재정 부담 때문이 아니라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더라도 자체 발전을 지속할 토대가 이미 마련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코바초프스카 국장은 설명했다.







이같은 정책수단을 통해 2040년까지 각 부문별 발전 비중을 원자력 46∼58%, 재생에너지 18∼25%, 가스 5∼15%, 석탄 11∼21% 수준으로 맞추겠다는 것이 체코 정부의 기본 목표이다.

원전 비중을 줄여나가려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체코가 이처럼 원전 확대 정책을 펴는 것은 국민들이 원전 건설에 대한 '반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체코 국민의 65% 정도는 현재 원전 확대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같은 여론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몇달을 제외하고 최근 20여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고 코바초프스카 국장은 전했다.

원전을 중심으로 한 체코 정부의 이같은 에너지 확보 정책은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 부존량이 적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 때문으로 분석된다.

체코는 석유와 가스를 러시아와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알제리, 리비아, 노르웨이 등지에서 수입하고 있다.

특히 수입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러시아가 자원을 무기화할 경우 국가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이를 두려워한다는 것이 주변의 설명이다.

코바초프스카 국장은 "향후 화력 발전을 줄이고 원전을 늘리는 것이 우리 에너지 정책의 기본 방향"이라며 "에너지 자립을 위해 이같은 정책이 불가피하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원전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일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하지만 국가에 필요한 에너지를 국가 안에서 해결한다는 에너지 기본 정책상 다른 안을 선택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