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협동조합, 제도적 지원·투명경영 필요"
중소기업 리더스포럼, 협동조합 활성화 정책토론회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05 06:00:01
"中企협동조합, 제도적 지원·투명경영 필요"
중소기업 리더스포럼, 협동조합 활성화 정책토론회
(경주=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의 중요한 생존 전략의 하나로 '협동 조합 활성'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정부의 지원과 협동조합 스스로의 투명경영 노력을 강조했다.
각계 전문가들은 지난 3일 '협동조합, 함께 나아가면서 길을 만든다'라는 주제로 열린 리더스포럼 정책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협동조합의 현황과 미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광희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소기업계에서 시장경제의 약점을 보완해주는 것이 협동조합"이라고 강조했다. 경쟁의 패러다임이 기업 간 경쟁에서 업종간 경쟁으로 바뀌면서 공동의 목표를 위해 기업들이 힘을 합칠 필요가 커졌고, 이 때문에 협동조합이 재조명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협동조합으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깨달았다"며 "협동조합의 성과를 보고 신자유주의가 전부인 것 같은 착각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제조업체의 매출 신장률을 보면 금융위기 이후 전체 제조업체 평균이 마이너스 성장과 플러스 성장을 넘나든 것에 비해 협동조합 회원사의 매출 신장률은 5∼20%로 비교적 안정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최근 조합원(회원사)이 줄고 협동조합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갖는 조합원도 늘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중기중앙회의 조사 결과를 보면 2013년 평균 92개였던 조합원은 지난해 84개로 감소했고, 조합의 연평균 수입도 2006년 약 5억3천만원에서 2013년 5억1천만원으로 줄었다.
김 연구위원은 이처럼 정체기에 들어선 협동조합이 다시 발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합이 자존·자립하려면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며 "기별기업 중심이 아닌 협동조합이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매칭펀드 형식으로 협동조합 활성화 기금을 조성해 표준화나 공동 기술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열린 전문가 토론에서도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은 다양한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우영균 전(前) 협동조합학회장은 파주 출판단지의 예를 들며 협동조합 문제의 해법을 조합 규모 및 공동사업 확대에서 찾았다.
파주 출판단지의 경우 인쇄·디자인·유통·영화·소프트웨어(SW) 등 동종 업종이 아닌 연관산업이 협동해 규모의 경제를 일궈낸 좋은 예로 꼽힌다.
그는 "통계를 보면 조합원이 평균 84개이고 상근 임직원이 없는 곳도 상당한데, 이런 규모로는 기획력·전문성을 발휘하거나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기 어렵다"며 "조합을 광역화하거나 조합이 영세할 경우 연합회가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태 협동조합연구소장은 "열심히 하면 대기업이 될 수 있다는 생각보다는 중소기업에 '유리천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협동조합이라는 자동차가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와 같은 현실을 극복하려면 엔진에 윤활유를 넣어주듯 협동조합 맞춤형 금융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협동조합의 자생 노력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조 연구위원은 "튼튼한 바퀴처럼 협동조합이 지속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이 필요하다"며 "또, 통일 경제를 열어가는 주체가 협동조합이 되려면 개성공단처럼 남북을 연결하는 협동조합 활동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