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등 감염병 막으려면 공공병원 확충해야"

의료민영화저지범국민본부 토론회서 주장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7-02 11:36:41

"메르스 등 감염병 막으려면 공공병원 확충해야"

의료민영화저지범국민본부 토론회서 주장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감염병을 막으려면 지역거점 공공병원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석균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원장은 2일 서울 통인동 참여연대에서 열린 '메르스 사태로 드러난 한국의료 긴급진단'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아 이같이 주장했다.

우 위원장은 메르스의 첫 진원지로 꼽힌 평택성모병원 인근에 지역거점 병원과 공공병원이 없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평택시나 평택 주변 경기 서남부지역에 지역거점 공공병원이 하나라도 있었다면 평택성모병원이 환자들을 다른 환자들과 섞거나 휴원해 환자들을 흩어버리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공립병원은 전체의 7% 수준에 불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공립병원 비율인 73%와 높은 격차를 보인다는 게 우 위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이어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초기에 병원명을 공개하지 않은 이유로 "사람들이 병원에 안 찾아가고, (병원이) 피해를 입게 된다"고 설명한 점을 지적하면서 수익을 걱정해야 하는 민간병원이 의료시설 대부분을 차지해 병원명이 빠르게 공개되지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부가 메르스 사태에서 혼란을 겪은 삼성서울병원과 원격진료 허용을 논의한 것에 대해서도 적절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함께 발제를 맡은 나영명 보건의료산업노조 정책실장도 메르스 사태 이후 민간병원은 메르스 환자를 받지 않으려 했지만, 국립중앙의료원 등 공공병원들은 환자 치료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공공병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2009년 신종플루가 유행했을 때 5개월 동안 1만 2천명이 넘는 환자를 진료한 진주의료원이 강제폐업된 탓에, 이번 사천 지역 메르스 의심환자는 20㎞ 거리의 진주의료원 대신 120㎞ 떨어진 양산부산대병원에 가서 입원치료를 받아야 했다고 지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