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지원 투명성 보장되어야 인권 개선 기여"

국제탈북민단체 "지원 대상은 정권이 아니라 주민이어야"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21 00:30:50

△ (브뤼셀=연합뉴스) 송병승 특파원 = 벨기에 브뤼셀에서 19일 열린 북한인권토론회에서 패널들이 참석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북한 지원 투명성 보장되어야 인권 개선 기여"

국제탈북민단체 "지원 대상은 정권이 아니라 주민이어야"



(브뤼셀=연합뉴스) 송병승 특파원 =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북한인권 개선에 기여하고 북한 주민에게 혜택이 돌아간다고 국제 탈북민 단체가 밝혔다.

국제탈북민연대와 재유럽조선인총연합회가 19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한 북한인권영화상영회 겸 북한인권토론회에서는 한국 최초의 북한 인권 실상을 다룬 영화 '48미터'가 상영됐다.

2013년 개봉됐던 '48미터'는 북한과 중국 국경인 압록강의 가장 짧은 거리인 48m를 사이에 두고 북한 주민들의 생사를 건 탈출을 그린 영화다.

영화 상영에 이어 열린 토론회에서는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벨기에 루뱅대학에서 한국학을 가르치는 아드리엔 카르보네 교수는 유럽인들은 북한 인권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탈북민들의 용기 있는 선택을 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카르보네 교수는 유럽연합(EU)은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의 당사자는 아니지만, 중국에 대해 북한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국제탈북민연대의 김주일 사무총장은 과거 한국 정부의 '햇볕정책'을 통한 북한 지원은 북한 주민이 아니라 북한 정권을 향한 것이었다고 지적하고, 이는 북한의 붕괴를 막기 위한 남한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주일 사무총장은 국제사회와 남한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이 같은 지원이 북한 주민에게 혜택으로 돌아가려면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원 대상은 북한 정권이 아니라 북한 주민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