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 1년> 충남도정 경제지표 호조 속 안정적 출발
"민선 연임 성공 사례 남길 것" vs "산적한 난제 해결이 먼저"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20 06:31:14
△ <민선6기1년 기획> 안희정 충남도지사
(홍성=연합뉴스) 강진욱 기자 =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9일 연합뉴스와 가진 민선6기 1년에 즈음한 인터뷰에서 "서해안시대를 맞아 '환황해경제권' 기반 구축을 위해 중국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도청과 교육청, 경찰청이 들어 있는 내포신도시와 주변 시·군 및 서해안권역을 하나로 묶는 광역 도시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5.6.20
kjw@yna.co.kr
충남도정 경제지표 호조 속 안정적 출발
"민선 연임 성공 사례 남길 것" vs "산적한 난제 해결이 먼저"
(홍성=연합뉴스) 강진욱 기자 = 안희정 충남도지사의 민선6기 1년에 대해서는 '일단 괜찮은 스타트'란 평가가 대세다.
지난해 6월 선거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지지 기반(득표율 52.2%로)에서 연임에 성공한데다 타 지역과 비교해 충남도 경제 상황이 나쁘지 않고, 앞으로도 꾸준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호재'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충남도 경제는 만족할 정도는 아니어도 다른 광역 자치단체와 비교하면 성적은 상위권이다.
민선6기 1년에 대한 경제 실적 통계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국가통계포털(KOSIS) 및 한국은행통계시스템(ECOS) 발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충남의 경제성장률은 11.8∼3.6%로 전국 평균 경제성장률(6.5∼2.3%)보다 월등했다.
지난 2013년 충남 경제성장률은 5.3%로 전국 평균(2.9%)보다 2.4%p 높다. 충북(7.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실업률은 올해 4월 현재 4.0%로 전국평균(3.9%)보다 다소 높지만, 고용률은 전국 평균(60.3%)보다 높은 63.2%다. 경제활동 참가율도 65.8%로 제주(67.6%)에 이어 두 번째다.
외자유치 분야에서는 작년 2월 기준 29개 기업, 25억 4천500만 달러를 유치해민선5기 유치 목표(30개 기업) 대비 97%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1월 발표한 2013년도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보면 충남은 수도권을 제외하고 3년 연속 1위로 비수도권 투자유치 금액의 전체 25.9%를 차지했다.
2020년 완공 예정인 서해선 준고속철도, 대산항, 중국 산둥성(山東省) 룽청시(榮成市) 롱얜(龍眼)항 뱃길 개설 등 충남 경제 발전의 호재는 곳곳에 있다.
지난해 11월 아산에서 열린 삼성의 '디스플레이 전시회 및 콘퍼런스'나 한화가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추진하는 '죽도 에너지 자립섬 프로젝트' 등 충남과 기업들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들도 여럿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충남 천안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 참석해태양광 응용 제품의 사업화 및 중소벤처의 수출 지원 서비스(무역존 설치) 구축 등 충청권의 태양광 산업기반과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처럼 충남도의 민선6기 1년의 성과와 중장기 미래의 전망은 일단 '절반의 성공' 또는 괜찮은 스타트로 보이지만, 난제도 적지 않다.
우선 수도권 규제 완화가 본격화되면서 충남의 기업 및 학교 유치에 적색 신호가 커졌다.
2000년대 말까지만 해도 연간 300개 가까운 기업들이 충남에 둥지를 틀었지만, 2013년과 지난해에는 그 수가 각각 30여개로 줄었다.
충남의 경제성장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다지만 체감(遞減)하는 이유다.
앞서 언급한 충남 경제의 잠재력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대산항이 중국 교류의 교두보가 되려면 38번 국도의 복선화와 대산-당진간 고속국도 건설이 필요하지만 아직 예비타당성 조사 단계다.
대산-당진간 고속국도 건설은 대산 개별산업지구에 입주해 있는 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 한화-토탈, LG화학 등 중요 석유업체들의 물류비 절약과 인근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충남도와 서산시 및 대산읍이 서둘러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또 지난 4월 행정자치부 산하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당진-평택항 매립지 면적에 대해 평택에게 훨씬 유리하게 결정해 당진시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진 것도 도정에 짐이 되고 있다.
여야 의원이 행자부를 찾아가 정부의 잘못된 결정을 지적하고 도에서도 법적 대응까지 고려하고 있지만, 언제 어떤 해법이 나올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