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우 "경기도는 진정세에 접어들었다"

"감염확산 차단과 모니터링 대상자 격리관리가 중요"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19 11:50:19

이기우 "경기도는 진정세에 접어들었다"

"감염확산 차단과 모니터링 대상자 격리관리가 중요"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이기우 경기도 사회통합부지사는 19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 "경기도는 상당히 진정세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문가들이 지역에서의 메르스 감염이 확산될 것으로 보지는 않지만, 감염확산 차단에 주력하고 모니터링 대상자를 철저히 격리관리하는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지사는 현재 경기도 메르스방역대책부본부장, 경기도 메르스대응 민관합동 의료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수원병원의 메르스중점치료센터 지정과 도내 대형병원의 외래진료거점병원 참여를 주도했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 경기도의 메르스 상황은 어떠한가.

▲ 오늘 현재 경기도내 메르스 확진자는 66명이고 이 가운데 퇴원 17명, 사망 7명, 42명 치료중이다. 경기도가 감염확산을 막기위한 대책을 세워 운영중인데, 도는 상당히 진정세에 들어가 있는 것이다. 모니터링 대상자에 대한 추적도 가능하다. 추가로 감염이 확산되는 병원이 없다.

-- 메르스 발생 초기 정부와 경기도의 대처는 어떻게 평가하나.

▲ 전염병은 국가에서 관리한다. 평택성모병원도 초기에 질병관리본부에서 대처했다. 초창기 역학조사에 대한 판단과 대처는 지금 따진다면 미흡했고 자의적인 판단이 있었다는 평가다. 아무래도 메르스를 처음 접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수원성빈센트병원 등 환자가 거쳐간 병원의 감염차단을 잘 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선에서 대처한 것이다. 그러나 중앙부처와의 정보공유 등 여러가지 아쉬운 부분이 있다.

-- 경기도의료원 산하 수원병원을 메르스 집중치료센터로 지정한 이유는.

▲ 모든 병원이 불안해 하는 것은 다 똑같다. 환자가 스쳐 지나갔다고 해서 다른 환자가 다 나가고, 지역사회에서 오명을 씌웠다. 메르스 환자에 대한 치료와 진료를 모든 병원이 꺼리는 '정서적인 진료거부'가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병원이 치료센터와 격리병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대신 민간병원에서는 의심증상이 있는 도민을 진료받는 역할을 담당해주도록 했다.

-- 수원병원 내부에서도 처음에는 반대의견이 있었는데.

▲ 공공병원이라고 두려움이 없겠나. 처음에는 반대가 있었다. 감염전문가들이 수원병원에 가서 직원들과 간담회를 열어 취지를 설명하고 이해를 시켰다. 중점치료센터로 운영해도 될만한 병원인지도 실사를 했다. 그랬더니 서로의 신뢰가 쌓이면서 지정을 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는 감염병만을 전담하는 병원이 없다. 수원병원이 좋은 모델이 될 것이다.

-- 보건복지부 등 중앙부처와는 소통이 잘 되고 있나.

▲ 최기에는 복지부와 전화가 안 되고, 현장에서 필요할때 지침을 내려 주지 않는 등 지자체와 중앙이 긴밀하게 소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지금은 핫라인 채널을 가동해 운영중이다. 메르스 확진 판정 권한을 지자체에 주고, 메르스 진료거점병원을 지정해 운영하는 것 처럼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건의한 정책을 복지부가 수용한 경우가 많다.

-- 역학조사관의 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 현재 국내 감염내과 전문가가 160여명 수준으로 너무 부족해 이런 위기에 대처할 수 없다. 병원은 감염내과가 돈이 되는 임상분야가 아니어서 전문가 영입을 잘 안한다. 절대적으로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 또 공중보건의가 맡은 역학조사관을 한 단계 격상해서 상시 대비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 메르스 사태가 종식될때까지 얼마나 걸릴 것으로 보나.

▲ 잠복기를 고려하면 6월 안에는 수습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실질적으로 더 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현재 가뭄으로 인한 고온건조한 사막형 기후가 꽤 오래가고 있는데, 이런 상황이 메르스가 왕성하게 잠복할 수 있는 기후조건과 맞는다. 가뭄까지 겹쳐서 어려운 조건이다.

-- 중앙부처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 메르스는 특정 지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 사안으로 번지고 있어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게 중요하다. 경기도는 민과 관이 소통하고 협력하는 역할 분담을 나누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이 시스템이 다른 지자체에도 확산되어야 한다. 중앙정부는 큰 틀에서 전체적인 상황을 판단하고 지자체가 할수 있는 역할을 공유하고 대처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