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정부 해킹 배후 제재 고려 속 내일 하원 청문회
강경대응 목소리 클 듯…공화, 백악관 직원 강제출석 압박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16 00:16:10
미국, 연방정부 해킹 배후 제재 고려 속 내일 하원 청문회
강경대응 목소리 클 듯…공화, 백악관 직원 강제출석 압박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소행으로 의심되는 미 연방인사관리처(OPM) 전산시스템 해킹 사건과 관련해 제재를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 하원이 16일(현지시간) 처음으로 청문회를 열고 대책을 추궁한다.
공화당이 주도하는 이번 청문회는 사상 최대 규모인 이번 연방정부 해킹 사건의 진상 및 배후를 규명하는 동시에 오바마 행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하기 위해 열리는 것으로, 제재 압박을 비롯한 공화당의 대대적인 공세가 예상된다.
공화당은 현재 해킹 배후로 지목된 중국에 대해 강력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을 오바마 행정부에 촉구하고 있으며, 만에 하나 오바마 행정부가 제재를 결정할 경우 중국과의 심각한 외교적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제이슨 샤페즈(공화·유타) 하원 정부개혁감시위 위원장은 15일 비영리 케이블채널인 C-스팬(C-SPAN)에 출연해, 중국 해커들이 최장 1년간 OPM 전산시스템에 침투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면서 이들 해커가 OPM 전산시스템을 서핑하면서 개인 인사기록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빼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OPM의 보안 취약성을 경고하면서 인사기록 자료를 암호화라고 촉구하는 보고서가 여러 건 나왔는데도 OPM은 보안조치를 전혀 취하지 않았다"면서 "정부가 사전 경고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샤페즈 위원장은 이어 청문회 일정을 거론하면서 "미국 국민과 (직접적 피해 당사자인) 공무원들은 이번 사건의 진상을 알 필요가 있다"면서 "OPM 관련 백악관 직원들이 청문회 출석을 꺼리는데 필요하다면 소환장을 발부해서라도 관련자들을 강제로 출석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토안보부는 앞서 지난 4일 OPM 전산시스템이 4월 말부터 해킹당해 전·현직 연방공무원 400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 언론은 익명의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신상 정보가 누출된 전·현직 연방공무원이 900만∼1천400만 명에 달하는 것은 물론 OPM 신상정보 이외에도 비밀정보를 취급하는 정보기관과 군사부문의 요원이 작성한 민감한 개인정보도 유출된 것으로 의심된다고 전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