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인사관리처 해커들, 공무원 전원 정보 빼돌려"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12 11:05:17


"미 연방인사관리처 해커들, 공무원 전원 정보 빼돌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군이나 정보기관, 국회의원을 제외한 미국 전·현직 연방 공무원 전원의 신상정보가 해커의 손에 들어갔다는 주장이 나왔다.

11일(현지시간) AP, AF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연방정부 근로자 노동조합의 J.데이비드 콕스 위원장은 캐서린 아철레타 미국 연방인사관리처(OPM) 소장에게 보낸 편지에서 "해커의 표적은 '중앙인사자료 파일'이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콕스는 "해커가 현직 연방 공무원 전원, 퇴직한 연방 공무원 전원, (다른 곳에서 일하는) 전직 연방 공무원 전원의 신상정보를 손에 넣었다"고 강조했다.

미국 연방정부 공무원들의 인사관리를 맡는 OPM은 최근 전산망이 해커에게 뚫려 400만 건에 달하는 신상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OPM은 구체적 피해 실태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콕스의 편지는 OPM 내부의 브리핑을 토대로 작성된 것이라서 주목된다.



콕스는 해커들이 병무기록, 주소, 생년월일, 직업, 급여, 의료보험, 생명보험, 연금, 성별, 인종 등의 개인정보를 훔쳤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보장번호조차 암호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상황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고 화를 치밀게 하는 사이버 안보 실패"라고 지적했다.

OPM의 중앙인사자료 파일에는 군이나 정보기관, 의회 의원 및 직원들을 제외한 공무원들의 개인정보가 담겨 있었다.

새무얼 슈마흐 OPM 대변인은 "보안 때문에 유출이 의심되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며 신상정보가 해커의 손에 들어갔다는 증거도 없다고 반박했다.

마이크 로저스 전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 위원장은 공무원들의 개인정보는 협박이나 정부기관을 사칭하는 사기와 같은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이란 핵협상이 열린 스위스 호텔의 전산망에 해킹 시도가 있어 스위스, 오스트리아 당국이 수사에 나선 사실과 관련, 실제로 유출된 정보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프 레스키 국무부 대변인은 "수사 사실을 알고 있었고 스위스, 오스트리아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며 "협상이 진행되는 내내 기밀로 분류된 세부사안, 토의 내용을 확실히 비밀로 지키려는 조치를 취해왔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