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거래로 농산물 유통비용 6천억 절감"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10 11:53:53

"직거래로 농산물 유통비용 6천억 절감"



(세종=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지난해 직거래 확대 등으로 농산물 유통비용이 6천억원 이상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3년부터 추진한 농산물 유통구조개선 종합대책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10일 발표했다.

농식품부 분석에 따르면 작년에 가락시장 등 기존 도매시장을 거치지 않고 농산물을 직거래해 절감한 유통비용은 총 6천241억원이다.

직매장, 직거래 장터, 온라인 쇼핑 등 소비자대상 판매로 2천576억원, aT 사이버거래소와 농협 직접도매사업 등 기업간 거래(B2B)로 3억6천64억원을 각각 절감했다.

비용 절감액은 직거래 유통경로별 매출을 기존 도매시장을 통한 거래액과 비교해 산출한 수치다.

직거래 인프라가 많아지고, 대형 유통업체와 산지 간 직거래 등 새로운 유통 관행이 자리 잡았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2012년에 3개뿐이던 로컬푸드 직매장은 지난해 71개로 증가했다. 2년 새 매출액은 62억원에서 950원으로 약 15배나 뛰었다. 이마트 산지 직거래 취급점은 2013년 50개에서 지난해 80개로 늘었다.

또 수급대책과 정가 도매시장 수의매매 활성화 등에 힘입어 시장 불안 심리가 줄어 가격 급등락 문제가 조금씩 완화하는 것으로 농식품부는 평가했다.

실제로 5대 채소 가격변동률은 2012년 14%, 2013년 12.9%, 지난해 9.8%로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 같은 지난 2년간 성과를 바탕으로 농식품부는 농산물 유통개선대책 3년차 계획을 세웠다.

우선 농업인의 안정적인 생산기반 유지를 돕는 계약재배 사업을 채소류 생산출하안정사업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계약재배 사업은 농협 중심으로 이뤄졌으나 앞으로 대형마트, 가공업체, 학교급식센터 등으로 계약주제를 다양화해 고정 수요처 위주로 지원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계약 물량에 일정 수준의 가격을 보장하는 생산안정제도 도입한다.

아울러 지역별 생산지와 소비지를 중심으로 빅데이터를 구축해 산지와 소비지 간 직거래를 이어주는 사업을 추진하는 등 직거래 확산에 나선다.

오는 10월 지역별 원예생산물 생산·유통 종합계획 수립 지침을 마련해 지역 단위로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하도록 이끌 계획이다.

주요 원예농산물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품질·가격 경쟁력을 높이도록 공동체 중심 경영을 확대한다.

주산지를 조직화한 밭농업 공동경영체를 육성하고 주산지 육성계획을 토대로 생산·유통 등을 총괄하는 주산지협의체 구성을 지원한다.

이준원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성과가 나온 부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미흡한 부분의 개선과 보완에 힘쓸 계획"이라며 "유통주체 간 자율경쟁을 기본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적정한 생산과 소비를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