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영·일 원전 폐로 어떻게 하나'…폐기물이 가장 문제

7개국 15개 원전도시 참가 '기장포럼'…안전경험 공유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09 17:01:57

△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전세계 7개 원전 소재 지방자치단체와 원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제2회 기장포럼'이 9일 부산시 해운대구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렸다. 발전소 운영 정보공개방안, 원전 긴급상황 대응방안, 원자로 폐로 관련 제도와 폐로경험, 방사성폐기물 저장 현황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2015.6.9 ccho@yna.co.kr

'미·영·일 원전 폐로 어떻게 하나'…폐기물이 가장 문제

7개국 15개 원전도시 참가 '기장포럼'…안전경험 공유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원자력발전소 폐로하는 작업은 복잡하게 해서 안 되고 가용한 기술로 해야 합니다."

9일 부산시 해운대구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기장포럼'에서 영국 방사성 폐기물관리 전담기구(NDA) 소속 마크 웨어링 부지관련팀 프로그램 매니저는 "폐로계획이 너무 완벽할 필요는 없고 초기 설계만 잘 하면 된다"며 원전 폐로작업에서 얻은 교훈을 설명했다.

NDA는 1940년 운전을 시작한 셀라필드 등 영국 내 원전 폐로와 정화작업을 하고 방사성 폐기물을 처분하는 곳이다.

마크 메니저는 "원전운영에 적용되는 기준과 폐쇄에 적용되는 기준은 매우 다르다"며 "원전시설 폐쇄가 시작되면 원전 운전을 담당하는 회사와 폐로를 담당하는 회사 등 관련기관들이 마음가짐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셀라필드 부지 인근에 2개의 핵 폐기물 처리시설을 마련했으나 지역사회의 동의를 얻지 못해 2040년까지 사용이 불가능하다"며 "고준위 폐기물 저장시설이 부족하고 폐로비용도 워낙 비싸기 때문에 폐로 및 자금 계획을 여유있게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미국, 일본, 영국 등 7개국의 15개 도시 대표들이 참석한 기장포럼에서는 사용후 핵연료와 핵폐기물 저장, 원자로 폐로 등에 관심이 모아졌다.

야마다 오사무 일본 도카이 시장은 "도카이 원전은 1998년 3월 31일 가동을 중지하고 일본 원전 가운데 최초로 폐로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야마다 시장은 "30년간 원전해체작업을 한다는 계획 아래 현재 열교환기 철거공사를 준비하고 있다"며 "하지만 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과 고농도 원전 폐기물을 처분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스즈키 마사미 오마에자키시 정책총괄책임자는 "오마에자키에는 5개 원전이 있지만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가동이 정지됐다"며 "1·2호기는 내진 저항성을 높이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폐로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스즈키 씨는 "폐로계획은 4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로 1·2호기의 연료 제거가 모두 완료됐고 오염상태 조사도 거의 마무리 됐다"며 "2단계로 원자로 주변장비 해체와 오염상태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지만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클로벌전략경영원 알란 제임스 안 부장은 "미국의 원전시설 규모는 전 세계 최대수준이지만 상업원자로의 평균 나이는 34년으로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에서 발생하는 초기 운영허가 기간인 40년에 가까워 노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알란 부장은 "미국에서는 19기의 원자로가 폐쇄 과정에 있다"며 "다른지역에서도 노후 원전이 조기 폐쇄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고 사용후 연료 관리 문제도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 사용후 핵연료 영구 처분 부지는 아직 없고 오바마 행정부는 사용후 핵연료 중간처분장을 추진하고 있다"며 "원전폐쇄가 빠르게 증가할 경우 사용후 연료 부지선정은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오규석 기장군수는 "한국에서는 고리1호기 폐로와 원전폐기물, 사용후 핵연료 처리문제 등이 핵심 이슈로 부각하고 있다"며 "고리1호기를 폐로하고 폐로 산업의 중심이 기장군이 될 수 있도록 힘과 노력,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관섭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적으로 원전에 대한 패러다임이 경제성보다는 안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며 "원전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 하고 원전비리 근절 대책 등도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