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즉각대응팀에 '병원폐쇄명령권'…신속조치 의지
박 대통령 "시시각각 변하는 전파양상에 효과적 대응 못해" 지적
조영재 기자
cyj117@nate,com | 2015-06-08 19:05:40
[부자동네타임즈 조영재 기자]8일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와 관련한 즉각대응팀(TF)을 구성하기로 한 것은 시시각각 변하는 메르스 전파 양상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보인다.
감염병에 정통한 민간 전문가들을 즉각대응팀에 대거 투입, 이들에게 병원의 감염관리 지도에 대한 전권을 행사하도록 해 메르스 확산세가 커질 경우 빨리 진화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로 이날 구성하기로 한 이 TF는 장옥주 보건복지부차관과 함께 공동팀장을 맡는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을 비롯해 부팀장인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과장을 포함해 모두 15명의 감염내과 전문의들로 구성된다.
TF 구성의 배경에는 그동안 메르스의 전파 속도에 비해 신속한 의사 결정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상황 인식이 있다.
박 대통령 역시 TF 구성을 지시하면서 "이제까지 정부 방역체계에 대한 면밀한 점검결과, 시시각각 변하는 질병의 전파양상에 대해 신속한 의사결정 및 필요한 지원조치가 늦어져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TF는 메르스 감염 환자 발생 상황에 따라 특정 병원에 대해 폐쇄명령을 내릴 수 있는 폐쇄명령권을 갖는다. 이를 포함해 병원에 대한 감염관리 지도에 대한 전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행정지원 요청 명령권도 갖는다.
민간이 참여하는 TF에 병원 폐쇄명령권을 부여하는 것은 꽤 파격적이지만 실제 방역 현장에서 폐쇄명령이 내려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그동안 폐쇄를 해야 할 만큼 감염 상황이 심각했던 병원은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의료진들이 대거 자가격리되며 사실상 자체 휴원을 하게 되는 수순을 밟아왔기 때문이다.
이날까지 36명의 환자가 감염된 평택성모병원의 경우 정부가 병원 폐쇄를 명령하지 않았음에도 환자 발생 소문이 퍼지고 의료진이 자가격리되면서 자연스럽게 휴원에 들어갔다.
특히 정부가 메르스 환자가 거쳐간 명단 공개를 시작한 뒤에는 상당수의 병원이 자발적으로 외래진료를 중단하기도 했다. 병원 명단 발표 이틀째인 이날 경기지역의 경우 이름이 공개된 모든 의원들은 외래진료를 하지 않았다.
다만 민간 전문가들이 대거 모인 TF가 구성된 것은 메르스와 힘겹게 싸우고 있는 보건당국이 든든한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신속한 조언을 바탕으로 결단력 있는 정책을 신속하게 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인다.
현정택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은 "TF에 (병원의 메르스 감염 관리와 관련해) 즉각적인 조치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며 "TF는 자문하는 역할이 아니라 즉각 대응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