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서울시에 35번 환자 정보 이미 제공했다"
"메르스 확진권한, 행정기관간 권한으로 보기 어렵다"
박원순 시장 정보공유 요구 조목조목 반박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06 20:36:37
△ 자료사진
복지부 "서울시에 35번 환자 정보 이미 제공했다"
"메르스 확진권한, 행정기관간 권한으로 보기 어렵다"
박원순 시장 정보공유 요구 조목조목 반박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보건복지부가 박원순 서울시장이 삼성서울병원에 요구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정보를 "이미 제공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복지부는 6일 보도자료에서 "35번 확진자에 대한 동선, 접촉자 명단 등 필요한 정보는 이미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박 시장은 병원 측에 35번 환자 동선에 대한 서울시 실태조사에 협조해줄 것과 병원 내부 접촉자에 대한 정보, 환자가 참여한 심포지엄 참석자 명단, 발병자의 현황과 관리 상황, 병상 현황 등 정보공유를 요구했다.
복지부 입장대로라면 박 시장은 복지부로부터 이미 제공받은 정보를 삼성서울병원에 다시 요구한 셈이다.
복지부는 또 메르스 확진 판단 권한을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까지 확대해달라는 박 시장의 요구에 관해서는 "검체에 대한 검진은 과학적 실험에 따라 이뤄지는 것으로 확진 환자로 분류하는 것은 행정기관 간 권한으로 보기 어렵다"고 일축했다.
복지부는 "현재 보건환경연구원의 1차 검사 결과에 따라 격리병동 입원 조치를 시행 중이며, 보건환경연구원의 1차 검사가 양성이었으나 (방역당국 산하) 국립보건원의 검진이 음성으로 나오면 즉시 퇴원 조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1차 검사 결과가 양성이었으나 국립보건원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판정돼 퇴원 조치가 이뤄진 경우도 이미 2건 발생했다"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확진 권한 부여 여부는 검사 이후 격리병동 입원 등의 신속성을 제고하는 문제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며 "오히려 국립보건원에서 다시 검진해 확인하는 현재 방식이 국민의 불필요한 입원을 차단하는 방안"이라고 확진 권한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박 시장은 "메르스 확진 권한을 오직 질병관리본부만 보유하고 있어 검진과 확진에 시간이 과다 소요되고 있다"며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확진 권한을 부여해달라"고 요구했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