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NSA, 해커 추적 위해 인터넷 감시 확대했다"
뉴욕타임스, 스노든 폭로 문서 인용해 보도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6-05 12:09:58
"미 NSA, 해커 추적 위해 인터넷 감시 확대했다"
뉴욕타임스, 스노든 폭로 문서 인용해 보도
(서울 =연합뉴스) 홍성완 기자 =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외국 정부 등에 의한 컴퓨터 해킹을 추적하기 위해 미국 내 인터넷 트래픽에 대한 감시 활동을 확대했으며 이는 오바마 행정부의 승인하에 이뤄졌다고 뉴욕타임스(NYT)와 탐사보도 전문매체 프로퍼블리카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 매체는 NSA 전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이 폭로한 비밀문서를 근거로 미 법무부가 2012년 중반 외국과 연계된 악성 소프트웨어나 사이버 침입을 적발하기 위해 NSA에 영장 없이 인터넷 트래픽을 추적 감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전했다.
법무부의 조치는 당시 작성한 2건의 비밀 메모에 담겨 있다고 NYT는 밝혔다.
법무부는 NSA가해킹과 관련해 외국 정부와 연계 가능성이 있는 인터넷 주소와 사이버 서명 등을 모니터할 수 있게 했을 뿐 아니라 외국과 연계여부가 분명치 않더라도 악성 사이버 활동과 관련이 있는 특정 온라인 목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NSA에 대한 비판론자들은 NSA의 인터넷 감시 확대 허용은 공개 토론 과정을 거쳤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민권 운동가들은 NSA의 인터넷 감시 확대는 사법기관들의 전통적 업무 영역을 침범했으며 해외정보 수집에 국한시킨 NSA의 역할에도 위배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미 정부 관리들은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NSA의 인터넷 감시활동을 확대할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이다.
제임스 클래퍼 미 국가정보국(DNI)국장은 "해킹 위협이 갈수록 빈번, 정교해지고 규모도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브라이언 헤일 DNI 대변인은 "미 정부가 국내 컴퓨터망에 침입해 미국 시민과 기업의 개인정보를 훔치려는 해외 세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외국 정부를 대신해 적대적 사이버 활동에 나서는 해외의 개인을 목표로 삼아 대응하는 것은 해외정보 담당기관의 합법적인 목표이다"고 말했다.
NSA의 인터넷 감시 확대에 관한 보도는 미 정부의 정보수집 활동이 사생활 보호권리와 국가 안보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맞춰야 하는지의 문제가 뜨거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