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박사급 산업 전문인력 양성에 기업들 의무 참여

인력 양성틀 새로 짠다…제조업혁신·고용확대 집중
산업부,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 개편…2016년 시행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28 11:37:11

석박사급 산업 전문인력 양성에 기업들 의무 참여

인력 양성틀 새로 짠다…제조업혁신·고용확대 집중

산업부,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 개편…2016년 시행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내년부터 대학 중심으로 진행돼 온 산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에 기업들의 참여가 의무화된다.

현재 업종별로 운영되는 인력양성 사업을 정책목적별로 개편하고 제조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핵심 정책분야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설명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 개편안을 발표했다.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이하 인력양성사업)은 산업계에 우수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대학원 교육과정 개편 등을 통해 엔지니어링, 나노, 해양플랜트 등 주요 업종별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502억원의 정부 지원이 이뤄진다.

이번 개편안의 골자는 ▲ 제조업 혁신 등 핵심 정책분야 집중 ▲ 산업계 참여 및 고용연계 확대 ▲ 추적조사 신설 등 성과관리 강화 ▲ 타 사업과의 연계 등 개방형 체계 마련이다.

개편안은 2016년 인력양성사업부터 본격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우선 정부의 핵심정책 과제인 '제조업 혁신 3.0 전략'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IT융합, 기초설계, 디자인 등 제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공통 기반 분야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현재 업종에 따라 22개로 나눠어진 인력양성사업을 정책목적에 따라 제조혁신전문인력양성, 소프트파워전문인력양성, 기업연계형 연구개발인력양성, 인적자원생태계조성 등 4개 사업으로 개편한다.

사전 과제기획을 강화하고 산업인력 로드맵을 수립해 한정된 자원을 핵심정책 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청년실업 문제와 중소·중견기업의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그동안 대학 중심으로 운영돼 온 인력양성사업에 기업 참여를 의무화하고 사업 과정 전반에 걸쳐 산학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학원 학생 선발에 산업계가 참여하게 하는 한편 기업 애로 해결을 위한 산학 공동 프로젝트와 인턴십을 정규 교과과정에 포함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그동안 인력양성사업이 교육 인원, 논문 건수 등을 중심으로 관리돼 온 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출된 인력이 산업계에 진출해 어떤 기여를 했는 지를 분석하는 추적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해 지원 규모를 조정하는 등 성과평가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밖에 채용인력 인건비 보조사업, 연구개발 사업 등 다른 사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해외·민간 교육기관을 활용한 시범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