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역사학연구회 "전후 일본을 평화국가로 부르는 건 부적절"
아베 총리 담론 사실상 반박…식민지배·침략 반성 강조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26 00:34:17
△ 구보 도루(久保亨) 역사학연구회 위원장(연합뉴스 자료사진)
日 역사학연구회 "전후 일본을 평화국가로 부르는 건 부적절"
아베 총리 담론 사실상 반박…식민지배·침략 반성 강조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의 대표적인 역사단체인 역사학연구회가 2차 대전 종전 후의 일본을 평화국가로 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견해를 내놓은 것으로 26일 파악됐다.
역사학연구회는 "대외 침략에 직접 상관하는 사태는 회피해왔다고 할 수 있을지라도 오키나와(沖繩)를 중심으로 많은 미군 기지가 설치돼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 등에서 미군의 출격 거점이었던 나라를 '평화국가'로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그간 "종래의 역사학에서는 전후 일본의 평화를 냉전이나 탈식민지화의 과정과 관계지어 논하는 경향이 부족했다"는 점에 입각해 전후 일본의 역사를 검토할 필요성을 자신들이 강조해왔다고 전제하고서 이같이 명시했다.
역사학연구회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국외 분쟁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뒀던 전후 일본의 정책을 "소극적"이라며 잘라서 버리고 있으며 집단자위권 행사 용인과 자위대 국외 파병을 가능하게 하는 법 개정을 추진해 새로운 '전쟁으로의 길'을 열려고 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 단체는 아베 정권의 이런 정책에 강하게 반대한다며 "침략전쟁과 식민지배에 대한 진지한 반성에 기반을 둔 역사학의 논의를 환기하고 이웃 여러 국가와의 신뢰 관계를 양성하며 상호 이해와 대화에 의한 평화 실현을 목표로 할 것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이상의 내용은 역사학연구회가 이달 23일 총회 때 채택한 '전후 70년을 맞아 전쟁으로의 길에 반대하고 평화의 결의를 새롭게 하는 결의'에 담겼다.
일본에서 가장 저명한 역사 단체 중 하나로 꼽히는 역사학연구회가 전후 일본을 평화 국가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을 내놓은 것은 아베 총리가 전후 70년을 맞아 내세운 담론에 대한 반박의 성격도 지닌 것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일본이 전후 70년간 평화 국가로서의 길을 걸어왔고 앞으로도 이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면서 자위대의 국외 파견 확대나 집단자위권 행사가 국제사회와 일본의 평화·안정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