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세계유산 등재때 징용 명시해야"…日, 부정적 반응(종합3보)

당국간 도쿄 협의서 '평행선'…후속 협의 개최키로
한국 "등재 자체 막으려는 것 아니다"…유연한 대응 표명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22 21:15:39

△ 일본 나가사키현의 '군함도'

韓 "세계유산 등재때 징용 명시해야"…日, 부정적 반응(종합3보)

당국간 도쿄 협의서 '평행선'…후속 협의 개최키로

한국 "등재 자체 막으려는 것 아니다"…유연한 대응 표명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이세원 특파원 = 한국 정부는 22일, 일본 근대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한 한일 협의를 통해 일부 등재 후보 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징용 사실을 알릴 것을 일본에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일본이 난색을 표함에 따라 양측의 논의는 '평행선'을 그렸지만 한국 측이 세계유산 등재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는 '유연한 입장'을 밝힘에 따라 향후 타협점이 도출될지 주목된다.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차관보급)가 이끄는 한국 대표단은 신미 준(新美潤) 일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국장급) 등 일본 대표단과 이날 오후 도쿄 일본 외무성 청사에서 세계유산 등재 문제와 관련해 3시간 가까이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은 일본이 각 산업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노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는 형태로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최근 일본 측에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알릴 것을 요구한 만큼, 세계유산 등재 결정문에 강제징용 관련 내용을 적시하고, 징용이 이뤄진 사실을 알리는 표지석 등을 각 시설에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 한국 정부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ICOMOS는 이달 15일 정리한 일본 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권고안에서 '각 장소에 대한 전체(full) 역사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라'로 요구했다.

이와 관련, 최 대표는 협의후 기자들에게 "1940년대 조선인 강제징용은 우리 원칙상 문제니까 양보할 수 없다"고 전제했지만 "등재를 저지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다"며 "강제징용에 대한 한국의 우려를 어떻게 다룰지에 대해서는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조선인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한 한국 측의 정당한 우려에 대해 일본이 성의있는 자세를 보이면 충분히 타협할 수 있다"며 "'역사는 기억되어야 한다'는 원칙 아래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소개했다.

이에 대해, 일본 측은 산업시설들을 세계 유산으로 추천하면서 대상 기간을 한일합방이 이뤄진 1910년 이전으로 한정했다며, 한국이 문제를 제기하는 강제징용은 시기가 다른 사안이라는 주장을 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이해를 얻도록 일본이 '어두운 측면(강제징용 역사)'을 배려하는 제안을 할 것이냐는 물음에 "유네스코에서 권고가 그대로 실현되기를 바란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양측은 후속 협의를 갖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일 당국자는 등재 여부가 결정될 때까지 세계유산 위원국 등을 상대로 치열한 설득 작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자문기구인 ICOMOS는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이달 초 '등재권고' 결정을 내렸으며, 최종 등재 여부는 6월28일~7월8일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23개 시설 가운데 하시마(端島) 탄광을 비롯해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시설이다. 이들 7개 시설에 수만 명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됐고 그중 94명이 강제동원 중에 사망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