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내일 도쿄서 '日세계유산 등재' 첫 공식협의

정부 "조선인 강제노동 외면한 일방적 등재 안 돼"
日 "정치적 주장"…양측 팽팽, 치열한 기싸움 예상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21 09:47:44

△ 일본 정부는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의 야하타제철소, 나가사키현의 나가사키 조선소(미쓰비시 중공업) 등 현재 가동 중인 시설과 미쓰비시 해저 탄광이 있던 하시마 등 총 23개 시설을 산업유산으로 등재 신청했다. 이 가운데는 과거 5만7천900명의 조선인이 강제징용된 7개 시설이 포함돼 있다. 사진은 미쓰비시 해저 탄광이 있던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일, 내일 도쿄서 '日세계유산 등재' 첫 공식협의

정부 "조선인 강제노동 외면한 일방적 등재 안 돼"

日 "정치적 주장"…양측 팽팽, 치열한 기싸움 예상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한 한일 간 양자협의가 22일 오후 일본 도쿄에서 열린다.

우리 정부가 그동안 일본 측의 일방적 등재추진에 대해 외교경로를 통해 문제제기를 하긴 했지만 양자 간 공식 협의가 진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자 협의는 일본 외무성에서 개최되고, 우리 정부에서는 외교부 차관보급 인사가 수석대표로 참석하는 것으로 21일 알려졌다.

정부는 '등재냐, 아니냐'의 이분법적 접근보다는 조선인 강제노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외면돼서는 안된다는 우려를 강하게 전달할 전망이다.

강제노동 사실을 외면한 채 단순히 산업혁명 시설로 미화하는 것은 또 하나의 역사 왜곡이며 인류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협약의 기본정신에도 어긋난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입장이다.

정부는 등재 자체를 막지는 못하더라도 결정문에 관련 내용을 적시하는 방법 등을 포함해 어떤 식으로든 관련 내용이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관측된다.

박근혜 대통령은 전날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을 만나 "유감스럽게도 일본이 일부 시설에서 비인도적인 강제노동이 자행된 역사는 외면한 채 '규슈·야마구치 및 인근 지역 메이지 혁명 근대 산업시설'을 세계 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것은 모든 인민을 위해야 한다는 세계유산협약 정신에 어긋나며 국가간 불필요한 분열만 초래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역시 일본에 대해 "식민역사를 미화하지 말라"며 강하게 성토한 바 있다.

일본 측은 한국 정부가 정치적 주장을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해당 시설의 대상 연도가 "1850년대부터 1910년까지"라면서 조선인이 강제징용된 장소라는 한국 측의 주장은 "연대나 역사적 위치, 배경이 다르다"고 반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제의 식민지배와 강제노동 논란을 피해가기 위한 꼼수를 동원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한일간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첫 협의에서 치열한 기싸움이 예상된다.

이번 협의는 등재 최종 결정권을 가진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들을 염두에 둔 장외 여론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최근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등재 권고' 결정을 내렸으며, 최종 등재 여부는 6월28일~7월8일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23개 시설 가운데 '지옥도'라는 별칭이 붙은 하시마(端島) 탄광을 비롯해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시설이다. 이들 7개 시설에 5만7천900명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됐고 그중 94명이 강제동원 중에 사망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