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에 웬 편집국장?"…한화투자증권 신선한 실험
주진형 대표 "보고서 등 감수 거쳐 알기쉽게 낼 터"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14 15:11:18
△ 사내 편집국 두기로 한 주진형 한화증권 대표
(서울=연합뉴스) 사내 편집국 두기로 한 주진형 한화증권 대표.
주 대표는 14일 페이스북에서 "드디어 회사 내에 편집국을 만든다"며 "한국은행을 거쳐 언론인 경력을 가진 분을 편집국장으로 모셨다"고 밝혔다. 2015.5.14 << 한화투자증권 제공 >>
photo@yna.co.kr
"증권사에 웬 편집국장?"…한화투자증권 신선한 실험
주진형 대표 "보고서 등 감수 거쳐 알기쉽게 낼 터"
(서울=연합뉴스) 차대운·장하나 기자 = 증권사들이 쏟아내는 각종 보고서에 '국어 파괴'가 만연한 가운데 한화투자증권이 '편집국' 설치라는 색다른 실험에 나선다.
주진형 한화투자증권 대표는 14일 페이스북에서 "드디어 회사 내에 편집국을 만든다"며 "한국은행을 거쳐 언론인 경력을 가진 분을 편집국장으로 모셨다"고 밝혔다.
리서치 보고서부터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릴 글까지 고객에게 전달되는 모든 글을 편집국의 감수를 거치게 하겠다는 것이 그의 구상이다.
그는 "비논리적 문장이 횡행하는 한국 증권가의 리서치 보고서를 적어도 우리 회사에서는 없앨 것"이라며 "알아듣기 어려운 문장으로 쓴 고객 안내문이나 상품 설명서도 이제는 끝"이라고 말했다.
주 대표가 내정한 '편집국장'은 모 경제지의 현직 논설위원으로 알려졌다.
증권사들의 연구 보고서나 금융상품 설명서 등에는 우리말 문법에 맞지 않는 비문이나 보통 사람의 수준에서는 알아들을 수 없는 영어식 전문 용어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금리 상승폭이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다"(14일 모 증권사 일일 종합 보고서)처럼 어법에 맞지 않거나 "시장 아웃바운드 +20.6%, ○○투어 PKG +27.3%, FIT 포함 전체 송객 +35.0% 성장했다"(11일 모 증권사 업종 보고서)처럼 '업계 표현'으로 가득한 보고서가 수두룩하다.
우리말 단어를 두고 굳이 '이머징마켓'(신흥시장), '리스크'(위험), '마진'(이윤), '시그널'(신호), '밸런스'(균형), '턴어라운드'(전환), 펀더멘털'(기초여건), '디폴트'(채무 불이행) 같은 외래어를 쓰는 것은 거의 문제로 인식되지 않을 정도다.
이에 앞서 주 대표는 2년 전 부임 직후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 형식의 보고서를 없애버린 바 있다.
자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힘을 뺄 뿐만 아니라 비논리적인 주장도 슬라이드로 만들어 놓으면 그럴싸해 보이기 쉽다는 생각에서다.
그는 "관공서에서 사용하는 개조식 보고서, 속칭 직땡 보고서가 한국 조직이 이렇게 비논리적인 보고서를 남발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아닌지 의심한다"며 "그래서 개조식 보고서를 폐지할까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