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비니 마스 "서울역고가공원으로 모든 사람 연결"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시도…주목받을 것"

편집부

news@bujadongne.com | 2015-05-13 16:59:27

△ 서울역고가 공원화 당선작 '서울수목원' (서울=연합뉴스) 서울역고가를 공원화하는 '서울역7017프로젝트' 국제현상설계 공모 당선작인 네덜란드 건축.조경 전문가 비니 마스의 서울수목원. 2015.5.13 << 서울시 제공 >> photo@yna.co.kr

건축가 비니 마스 "서울역고가공원으로 모든 사람 연결"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시도…주목받을 것"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서울역고가공원으로 모든 사람이 연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서울역고가를 공원화하는 '서울역7017 프로젝트' 국제현상설계공모 당선자인 네덜란드 건축·조경 전문가 비니 마스(Winy Mass)는 13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서울역고가 공원 설계안 '서울수목원(The Seoul Arboretum)'의 의미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비니 마스는 세계적인 건축 및 도시설계회사인 MVRDV 창립자이자 대표다. 이 회사는 2000년 독일 하노버 엑스포의 네덜란드관과 2030년 파리의 비전을 그려낸 '그랑 파리 플뤼 프티(Grand Paris Plus Petit) 프로젝트'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서울역고가는 광장이자 공원이 될 것"이라며 "고가를 따라서 다양한 것이 엮일 수 있다는 게 장소로서의 의미이며, 단순히 산업화의 상징물로서가 아니라 동네에서 다른 동네로 가는 과정으로서의 공간이라는 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비니 마스는 서울역고가 주변의 첫인상에 대해 "솔직히 말해 사무실과 시장, 벽, 소매점, 작은 집과 큰 집이 모두 뒤죽박죽 파편화돼 섞여 있어 매우 이상했다"면서 "방문자로서 어디로 갈지 길을 잃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고 소개했다.

그는 "고가에 서울에서 자라는 다양한 나무를 심고, 시민이 함께 가꿔나간다면, 고가주변의 파편화된 다양성을 상징하면서도, 이를 하나로 묶어 서울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역고가 공원화의 국제적 의미에 대해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시도로 모두가 주목할 것"이라며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와 비교하는데, 서울역고가 공원은 서울역 근처 도시의 심장에 있어 훨씬 눈에 띄고, 공중에서 보면 나무의 형상으로 이미 그 자체로 관심의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승효상 서울시 총괄건축가는 "미국의 지리학자 데이비드 하비는 현대 좋은 도시의 세가지 키워드로 이야기와 윤리성, 변화를 꼽았는데 비니 마스의 당선작은 이를 아주 적절히 충족시킨다"고 평가했다.

데이비드 하비는 현대 좋은 도시의 조건으로 ▲ 건물 몇 개의 이미지보다는 건물과 건물 사이에 이야기가 있을 것 ▲ 건축의 미학보다는 건축과 사회의 윤리적 관계 ▲ 도시는 완성되는 게 아니라 생성돼서 변화하는 것 등을 꼽았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